[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정부와 이통3사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인해 '대단한 인하 효과가 있다'라고 홍보했던 가운데 국민들의 대부분은 통신비 인하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참여연대와 우리리서치가 진행한 데이터요금제에 관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의 10명 중 8명 꼴로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통신비 인하 효과가 없거나 있어도 미미하고, 오히려 오를 수도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그리고 70%에 가까운 국민들은 데이터 요금제의 개선 및 추가 인하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통3사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변경하면 요금인하 효과가 크다고 주장하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요금이 인상됐다 (22.7%), 효과가 미미하다(31.6%), 효과 없음(22.9%) 로 응답했다. 응답자 중 77.2%가 데이터요금제로 인한 통신요금 효과가 없거나 있어도 미미하고, 오히려 오를 수 있다고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통신요금 인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10.5%에 불과했다.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대한 개선 및 추가 인하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개선과 추가 인하가 꼭 필요하다"의견이 68.9%, "향후 추이를 보고나서 개선을 추진해도 된다"의견이 18.1%, "최근의 데이터중심요금제이면 충분하다" 의견이 2.7% "잘 모름"의견이 10.2%로 나타났다. 국민 10명중 7명 꼴로 현재의 데이터요금제로는 부족하고 개선과 보완이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설문 결과에 대해 참여연대는 "통신 이용자들은 이용 패턴은 이미 데이터 중심으로 바뀌었는데 음성·문자가 무제한 제공된다고 해서 통신요금이 인하되는 것은 아니라는 참여연대와 통신공공성포럼 등의 지적에 국민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참여연대는 "이통3사가 부가세를 포함해 3만2900원 요금제에서야 무제한 통화를 제공한다는 것을 우리 국민들이 납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반드시 기본료 폐지 또는 대폭 인하(순차적 폐지), 저가 요금제에서 데이터 제공량 확대 등의 후속 및 보완조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설문 조사는 지난 7일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이뤄졌으며, 신뢰수준은 95%, 최대허용 오차는 ±3.1%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