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출시한지 한달 반이 넘어가는 시점에서 SK텔레콤이 데이터 요금제 가입자 모집에선 기선을 제압한 모습이다.
24일 SK텔레콤과 KT·LG U+에 따르면 지난 달 20일에 출시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가 출시 한 달여 만에 가입자 2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전날 기준으로 KT가 91만명, LG유플러스가 70만명을 기록한 것에 비해 각각 약 2.2배, 3배 많은 수치다.
SK텔레콤의 밴드데이터 요금제 가입자는 지난달 20일 출시 첫 날 15만명을 기록했고 2주 만에 100만명을 넘어섰다. 기존 요금제 가운데 가장 선풍적인 인기를 모은 2013년의 'T끼리 요금제'보다 가입자 증가 속도가 2배 빠르다.
데이터 요금제에 가입한 소비자들은 천문학적인 규모의 데이터 혜택을 받았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지난달 데이터 요금제에 가입한 80만명의 이달 데이터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T끼리 요금제' 가입자에 비해 628TB 상당의 데이터를 추가 제공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인당 약 800MB의 데이터를 더 쓴 것이다. 800MB는 고화질 IPTV를 1시간 동안 시청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다.
SK텔레콤은 데이터 요금제 가입자들이 1인당 평균 3.2GB의 데이터를 리필하고, 1.8GB의 데이터를 선물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통3사의 데이터 요금제 가입자는 이달 17일 기준으로 가입자 수가 300만명을 돌파했다. 불과 일주일 만에 다시 50만명이 증가했다. 지난달 요금제 출시 초반의 인기몰이를 꾸준히 이어나가는 분위기다. 앞서 지난달 28일 100만명을 기록한 가입자 수는 이달 3일 200만명을 돌파했다.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전체 무선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5700여만명에 달해 가입자 유입은 계속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리필하기', KT는 '밀당', LG유플러스는 동영상 시청 특화 요금제 등을 각각 자사 요금제의 특징으로 강조한다. 이런 서비스 덕에 가입자들의 데이터 사용 혜택이 크게 늘었다는 것이 업계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가입자 수가 늘면서 데이터 요금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있다"며 "향후 회사들은 데이터 요금제를 강화하고 발전시키는 쪽으로 경쟁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