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복현명기자]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과 창업진흥원(원장 강시우)는 창업교육·지원 인프라 등을 조사한 '대학 창업 인프라 실태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전수조사는 지난 2012년부터 매년 실시돼 전국 415개 대학(대학교 250개, 전문대학 165개)의 창업친화적학사제도·창업강좌·창업동아리·학생창업 현황 등을 방문면접조사를 통해 이뤄졌다.
△창업휴학제, 전국 대학의 48.2%(200개 대학)가 도입
대학 재학 중 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창업휴학제도는 200개 대학에서 시행중이며 이용기간은 평균 4.2학기(최초승인 3.0학기, 연장승인 2.2학기)로 조사됐다.
학교 유형별로는 ▲대학교는 145개 ▲전문대학은 55개교다.
△창업학과(창업강좌)·창업특기생도 증가
2015년 신규로 개설한 대학은 한양대·원광보건대·수성대·서남대 등 학부과정에 '창업학과'를 개설한 대학은 22개 대학으로 증가했다.
이어 '창업강좌'의 경우 301개 대학에서 3534개 강좌가 운영중으로 수강인원은 17만6118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연세대(98개)·서강대(97개)·전주대(54개)·숙명여대(49개)·서울대(42개)등으로 개설됐다.
또 창업경진대회 수상자·창업동아리 등 창업 경력 중심으로 선발하는 '창업특기생'은 15년 16개교, 257명을 선발했다.
학교로는 영남대(50명)·충북보건과학대(26명)·울산과학기술대(15명)·단국대(10명) 등이다.
△창업동아리·학생창업기업 급증
이번 조사에서 대학 창업동아리는 4070개로 회원수는 3만8762명으로 집계됐다.
대표적으로 창업동아리가 있는 대학은 연세대·건양대·단국대·인천대·전주대·호서대·인덕대 등으로 이 중에서 건양대를 제외한 6개 대학은 모두 창업선도대학이다.
주된 분야는 대학생들이 손쉽게 창업할 수 있는 SW·모바일 등 지식서비스업(48.6%)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한정화 청장은 이번 조사 결과와 관련해 "창업선도대학·대학 기업가 센터를 통해 창업동아리와 학생창업기업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대학의 혁신 창업 인프라를 연계해 대학교육과 실전창업과 연결고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