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 부담…"방과후학교 질높이고 차별화해야"
[메트로신문 김서이 기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차별화하고 대학 강사 등 질 높은 강사진을 배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가중되는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다.
서울시교육청이 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사교육비 경감 포럼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명랑 성신여대 교수는 "서울시의 경우 방과후학교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정책 중 가장 꾸준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방과후학교의 차별화 전략을 주문했다.
김 교수는 "서울시 중학생의 수학과 영어 방과후학교 참여 시간이 많을수록 전체 사교육비 지출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서울시에서도 방과후학교를 지역사회·사회적기업·대학과 연계해 운영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지만 이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전승 흥사단 사무총장는 "고교 방과후활동 과목을 다양화하고 대학의 시간강사급 전문인력의 참여를 보장하면 질 높은 교육과 함께 일자리 창출도 노릴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또 "'방과후학교 강사 협동조합' 등을 결성해 방과후학교 교육의 질을 끌어올린다면 자본력이 지배하는 사교육의 '광풍'과 비싼 사설학원 비용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시교육청에는 현재 운영 중인 방과후학교 지원센터를 공익재단으로 확대·전환해 방과후학교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수시로 바뀌는 교육과정에 대한 성토가 쏟아졌다.
토론자로 참여한 나명주 참교육학부모회 정책위원장은 "원칙 없이 수시로 변경되는 교육과정과 사교육업체들과 결탁한 한자교육, 인성교육 등은 우리 교육을 사교육 시장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 위원장은 이어 "정권의 취향에 따라 교육과정을 수시로 변경했기 때문에 교육현장은 방향 감각을 잃고 흔들리고 있다"며 "일관된 교육과정이 사교육비 안정화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김해경 전교조 서울지부 참교육실장는 "국가교육과정은 수업의 양을 줄이고 난도를 낮춰서 공교육 수업에서 진로교육과 예술과 체육교육 등을 수업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나온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사교육 대책을 수정·보완하는데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