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다음카카오-네이버, 손바닥 위 검색 전쟁..스마트폰에 머물면 수익도 쑥쑥



다음카카오-네이버, 손바닥 위 검색 전쟁..스마트폰에 머물면 수익도 쑥쑥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모바일 검색시장을 놓고 '손바닥 위' 전쟁을 시작했다. 양사간의 경쟁은 전통적 포털 검색 강자와 모바일메신저서비스 강자 간 플랫폼 혁명으로 이어지고 있다.

8일 온라인 시장조사기관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5월 기준 모바일 검색 점유율에서 네이버는 76.1%로 다음카카오(12.3%)나 구글(11.2%)을 압도적인 격차로 따돌렸다. 특히 네이버의 하루 방문객이 2400만명에 이르는 등 검색 점유율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런 배경은 네이버가 탄탄한 검색 알고리즘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 검색은 개별 데이터베이스(DB)에서 추출한 답변이나 단순한 관계를 답하는 것을 넘어 입체적인 관계정보까지 제공한다.

네이버는 강력한 검색기술을 앞세워 모바일에서도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에는 여러 사람이 반응을 보이는 특정 사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결과를 보여주고 분석해주는 실시간 반응시스템(ReACT)과 실시간 이벤트 탐색(RED) 등 검색기술을 모바일에 적용하고 있다. 네이버는 검색해 묻지 않아도 알아서 답해주는 개인 맞춤형 검색 서비스가 목표다.

네이버 추격에 나선 다음카카오의 성장세도 거침없다. 3700만명에 달하는 월간 사용자(MAU)를 확보한 모바일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이용자에게 특화된 서비스에 초점을 맞췄다. 최근 내놓은 '카카오톡 샵검색'은 다음카카오 검색 전략 핵심이다.

카카오톡 채팅창에 추가된 카카오톡 샵검색은 채팅 중에 간단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채팅창에 공유할 수 있어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친구와 채팅을 하다가 부천역에서 영화를 보기로 했다면 보고 싶은 영화나 특정 영화관을 검색해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를 카카오톡 내에 더 오래 잡아두기 위한 전략이다.

다음카카오는 샵검색 외에도 카카오검색을 선보여 자사 웹과 앱에 적용하고 있다.

이렇게 모바일 검색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모바일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모바일광고 시장이 매력적인 수익원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양사 모두 모바일 검색 비중이 늘어나는 만큼 이에 맞춰 사업을 노출하려는 욕구가 여전히 강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모바일 광고 시장은 8329억원이며 2013년(4159억원), 2012년(2159억원)과 비교해 매해 2배씩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는 1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체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모바일 광고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처음으로 30%가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