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결제 서비스 시장, 삼성 보다 네이버·다음카카오가 한수 위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간편결제 서비스인 '페이' 전쟁이 본격화 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포털·IT제조사·유통사 등이 업종을 불문하고 서비스를 출시 하고 있다. 현재 페이시장을 주도하는 곳은 삼성전자와 네이버, 다음카카오 등이다. 빅3 중 소프트웨어 기반의 인프라 특성상. 오프라인·단말기 기반의 삼성페이보다 온라인·모바일 서비스 기반이 탄탄한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가 우세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9월 선보일 예정인 삼성페이는 결국 범용성을 가진 단말기로 오프라인 간편결제를 주도하려는 전략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시장 점유가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은 자사의 단말기에 근거리무선통신(NFC)에 더해 마그네틱 보안전송기술(MST)을 적용해 기존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에서도 손쉽게 이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기존 삼성전자 단말기로는 이용 할 수 없고 최근에 출시된 갤럭시S6 이상의 단말기로만 이용할 수 있어 단기적으로는 삼성페이의 범용성을 입증하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갤럭시 S6의 판매부진은 물론 국내 휴대폰 단말기 시장의 침체 때문이다.
국내 휴대폰 시장은 지난 2011년 2598만대를 정점으로 매년 200만대씩 시장 규모가 줄어들고 있다. 이렇게 휴대폰 시장 규모가 줄어드는 추세로 봤을 때 삼성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이용자들은 일정 비율을 넘어서기도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페이 서비스의 이용자 확산이 낮은 것과 달리 온라인·모바일 서비스 이용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의 간편결제 서비스는 온라인에서 강점을 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1위 검색 점유율 보유한 네이버와 모바일 플랫폼을 주도하고 있는 카카오톡의 경쟁력은 간편결제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이다.
한 IT업계 전문가는 "샐 수 없이 많은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온라인 간편결제에서는 온라인 사용자 기반이 확고한 포털 기업이 유리할 것이 예상된다"며 "모바일의 경우 컬러 앱과 연동돼 사용자 기반이 확고하고 쿠폰이나 이모티콘 등 소비자 혜택을 조금이라도 더 줄 수 있는 포털 회사들이 간편결제 서비스에서 강점을 가졌다"고 내다봤다.
다음카카오의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톡만 사용하면 별도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간편결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정 통신사나 단말기, 운영체제에 종속되지 않은 범용성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카카오페이 가입자수는 가파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현재 카카오페이 가입자는 44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다음카카오 관계자에 따르면 "전체 신용카드 사용자 20%가량이 카카오페이를 사용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네이버의 네이버페이 역시 기존 온라인 포털 이용자라면 쉽게 서비스에 접촉할 수 있도록 했다. '네이버 모바일' 이용자가 하루 평균 약 2400만명이고 그중 61%가 자동 로그인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하루 약 1500만명의 네이버 회원들이 로그인 없이 간편 결제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용 방법도 최초 결제시 본인이 주로 사용하는 카드와 계좌 정보를 한 번만 등록해 놓으면 된다.
또한 규모가 커지고 있는 온라인·모바일 쇼핑 시장도 포털사의 간편결제 서비스 인기에 한 몫 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1조89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고 지난해 같은 달보다 74.6% 늘었다. 또한 모바일과 인터넷 쇼핑을 합한 전체 거래액은 한해 전보다 19% 증가한 4조2380억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