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구글·MS와 증강·가상현실 포럼 개최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SK텔레콤이 미래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주목 받고 있는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서비스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SK텔레콤은 22일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구글, MS 등 글로벌 혁신 기업들과 증강·가상현실 등 실감형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하기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현실과 가상환경을 융합해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가 제공하는 증강현실과 특정한 환경을 가상으로 만들어 고객이 실제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드는 가상현실은 이미 해외에서는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는 기술들이다.
SK텔레콤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선도적인 기술 개발과 더불어 5G 시대를 주도할 대표적인 미래형 서비스를 발굴하고, SK텔레콤의 대표적 상생공간인 'T오픈랩'과 연계해 관련 생태계 활성화에 나설 계획이다.
'5G 시대를 향한 가상체험 기술의 Now & Next'란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글로벌 기업을 비롯해, 산-학-연을 아우르는 다양한 분야의 개발자들이 참석했다.
포럼의 첫 발표자로 나선 증강현실 분야의 권위자인 우운택 KAIST 교수는 5G 시대 증강현실이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에 대해 발표다. 박재형 인하대 교수는 실감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있어 3D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구글의 '프로젝트 탱고' 개발총괄인 이튼 마더 앱스타인 최고기술자는 3D 센서가 탑재돼 3차원 공간을 감지하는 혁신적 IT기기 '탱고'를 소개하며 "스마트폰과 태블릿PC가 사람의 눈처럼 공간을 입체적으로 인지하게 되는 시대가 머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베일에 싸여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홀로렌즈' 발표도 큰 인기를 끌었다. 박중석 마이크로소프트 에반젤리스트(기술 전도사)는 자사의 증강현실 기기를 소개하며 "영화 아이언맨에서 토니스타크가 홀로그램 화면을 띄워놓고 작업을 하던 모습이 곧 현실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자사의 증강·가상현실 기술 개발 현황과 성과를 발표했다. 특히 구글과 협업해 지난 구글 I/O에서 공개한 'T-AR for Tango'을 소개하며, 3차원 공간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가상의 콘텐츠를 공간에 배치하기 위한 저작기능과 실행기능을 동시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