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권오준 포스코회장(왼쪽 부터), 최두환 포스코ICT 사장, 써춘밍 산둥성 상무청장, 궈수칭 산둥성 성장이 환경사업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 사진을 촬영 중이다. /포스코ICT 제공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포스코ICT(대표 최두환)가 중국 산둥성 정부와 협력해 현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 스모그 등 대기오염 방지와 수처리, 폐자원화 분야에 본격 진출한다.
26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권오준 포스코 회장과 최두환 포스코ICT 사장을 비롯한 회사 관계자와 산둥성(山東省)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포스코ICT와 산둥성 정부간 환경사업에서 협력하기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산둥성은 제철소, 발전소, 탄광, 유리, 시멘트 등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다양한 생산공장이 있는 지역으로 이번 협약을 통해 포스코ICT는 자사가 보유한 산업용 집진기를 비롯한 환경시스템을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협약이 성사된 것은 포스코ICT가 지난 4월 '한·중 철강분야 대기오염 방지 실증사업'의 후보기업으로 선정돼 환경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상호간의 이해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사업은 지난해 7월 시진핑 국가주석의 방한 시 체결한 한중 환경양해각서의 후속조치로 국내 환경기술을 적용해 중국 내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양국 정부가 공동으로 기획, 지원하는 협력사업이다.
중국 기업들은 이번에 마련된 지원금을 활용해 환경시스템을 갖출 수 있게 됐고, 국내 기업도 관련기술을 중국에 수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실제로 포스코ICT은 지난달 루리 강철과 환경시스템 공급을 위한 MOU를 체결했고, 이외에도 타이산(泰山)강철 등 산둥성 내 다양한 제철소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ICT 관계자는 "올해 중국 제철소와 발전소를 중심으로 공급 이력을 확대해 현지 사업기반을 더욱 넓혀나갈 것"이라며 "대용량 집진기 중심에서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중소형 규모로 제품군을 확대하고,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 기능에 유해물질까지 처리하는 기능을 접목한 융합형 제품으로 현지시장 공략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권오준 회장은 "금번 MOU체결을 계기로 포스코가 보유한 경험과 기술을 활용해 산둥성 기업들의 환경오염 문제해결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