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독일 베를린 IFA의 SK텔레콤 전시 부스 앞에서 조영훈 SK텔레콤 스마트홈TF장(오른쪽)과 최성호 LG전자 스마트 비즈 센터장이 스마트홈 서비스 연동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광고판을 들어보이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 이동통신 사업자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삼성전자와 LG전자 등과 함께 미래 유망 산업으로 손 꼽히는 스마트홈 서비스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국내 2위 이동통신 사업자인 KT만 다소 느릿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홈IoT(사물인터넷)이 미래 먹거리로 떠오르면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가전 제조사와 플랫폼을 연동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홈 서비스를 선도하고 있다. 반면 KT는 연내 자사의 서비스 출시 계획만 내놓고 있어 경쟁사에게 뒤처지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우선 SK텔레콤은 삼성전자, LG전자 등 글로벌 가전사와 손잡고 홈 사물인터넷(IoT)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양대 가전사 제품이 모두 연동되는 스마트홈 서비스 개발을 통해 국내외 관련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지난 6일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 전시회인 IFA 2015에서 LG전자와 향후 스마트홈 서비스와 스마트 가전 간의 시너지 창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SK텔레콤은 이미 삼성전자와 지난 4월 IoT 분야 협력을 위한 제휴(MoU)를 체결하고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올해 연말까지 양 가전사가 자체 보유한 클라우드 서버와 SK텔레콤 스마트홈 서버의 연동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에어컨, 세탁기, 로봇청소기 등에 우선 적용하고, 이후 공기청정기 등으로도 연동을 확대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삼성전자와 LG전자 제품이 하나의 플랫폼 안에서 이용 가능한 것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통신사와 제조사 플랫폼 연동으로 국내 IoT 가전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자사 중심의 얼라이언스 결집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지난 5월 자사 스마트홈 서비스 상용화 후 8월 현재 30개 이상의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삼성전자 및 LG전자와의 협업과는 별도로 연내 20개 이상, 내년 상반기까지 30개 이상의 제품 군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 3일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본사에서 사내 홍보 모델들의 자사의 사물인터넷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도 스마트홈 사업을 위해 같은 계열사로서 협업해온 LG전자뿐 아니라 삼성전자의 제품도 연동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구체적인 시기를 내놓진 않았다.
LG유플러스는 지난 7월 홈 스마트폰으로 가스밸브, 스위치, 플러그, 온도조절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IoT 앳 홈'을 출시하고 주목받고 있다. 통신사와 상관없이 앱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생태계 확장에 방점을 찍었다. 해당 서비스는 출시 3주 만에 1만 가입자를 넘어서는 기록을 세웠다.
전국 60여개 직영점과 대리점에 IoT 체험존을 만들기도 했다. 생소한 IoT 서비스를 상용화하기 위해선 이용자의 직접적인 경험이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경쟁사들의 움직임이 분주한 가운데 KT는 연내 스마트홈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내걸었다. 최근 이 회사가 내놓은 IPTV 일체형 PC '올레 tv 올인원'은 기기 연동의 한 축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이필재 KT 미디어사업본부장은 "올레 tv 올인원을 내놓을 때부터 IoT 서비스를 기획했는데 TV가 먼저 나온 것"이라며 "연내 스마트홈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 IoT 사업부서와 LG전자 등이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KT는 9월부터 가스밸브, 도어락, 열림감지센서 등 3가지 스마트홈 상품과 함께 '기가IoT홈매니저' 브랜드를 출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이 통신사의 틀을 뛰어넘어 전사적 차원에서 스마트홈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어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된다"며 "LG유플러스도 통신사와 상관없이 앱을 다운받아 쓸 수 있게 해 1만 가입자를 확보한 반면 KT는 상품조차 내놓고 있지 못하고 있어 고객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