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스타인터뷰] '신분을 숨겨라' 김태훈 "배우에게 연기 고민은 숨쉬는 것과 같죠"



[메트로신문 하희철기자] 연극무대에서 시작해 독립 영화를 거쳐 상업 영화와 브라운관까지 영역을 넓힌 배우 김태훈(41)은 최근 어느 때보다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쳤다. 올해에만 드라마 '앵그리맘', '사랑하는 은동아', '신분을 숨겨라'에 연달아 출연했고 틈틈이 두 편의 영화까지 촬영을 마쳤다. 쉴 틈 없이 연기 활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늘 맞는 옷을 입는 것처럼 모든 배역을 훌륭하게 소화해냈기 때문이다. 뛰어난 연기력이 뒷받침되지 않았다면 할 수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타고난 것은 아니다. 인터뷰를 통해 만난 김태훈은 연기에 대한 채울 수 없는 큰 갈증을 가진 배우였다. 일상 생활 속에서도 늘 연기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을 정도였다.

"매 작품을 할 때마다 살얼음판을 걷는 느낌이에요. 기복도 심하고요. 연기를 좀더 잘 하고 싶어서 항상 고민이에요. 가령 보편적이지 않은 인물을 표현할 때는 공감대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요. 연기는 죽을 때까지 해도 끝이 없는 것 같아요. 점점 더 그 압박이 커지기만 하죠. 도망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어요."



김태훈에게 있어 연기는 도전 그 자체다. 스스로도 "절대 만족할 수 없는 대상에 만족하고 싶어서 다가가려고 하는 중"이라고 말할 정도다. 실제로 작품을 할 때마다 도전적인 인물을 연기하고 있다. '앵그리맘'에서는 인면수심의 악인을, '사랑하는 은동아'에서는 사랑하는 사람을 갖기 위해 무슨 일이든 다 하는 인물을, '신분을 숨겨라'에서는 악인을 처단하기 위해 스스로를 희생하는 인물로 변신했다.

"태어날 때부터 괴물이나 천사로 태어난 사람은 없다고 생각해요. 그 인물이 살아온 삶에 따라 다른 정당성을 갖고 있는 거니까요. '앵그리맘'의 도정우는 출생에 얽힌 상처들 때문에 악으로 물들 게 된 거고 '사랑하는 은동아'의 최재호는 아내를 진심으로 사랑했기 때문에 기억을 잃은 그녀에게 진실을 숨긴 것 뿐이죠. 그런 믿음을 갖고 연기해요."



김태훈이야말로 배우가 가져야할 정석적인 마음가짐을 가졌다. 배우로서의 진가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그는 '열등감'이라고 단언했다. 엉뚱하면서도 진정성이 느껴지는 대답이었다.

"정말이에요. 나는 왜 연기를 할까라는 생각이 들 때 이유를 못 찾겠더라고요. 배우가 되고 나서는 아침에 눈 뜨고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 하루 종일 숨쉬듯 연기에 대한 고민을 해요. 단순히 연기를 잘 하고 싶은 게 아니라 시청자나 관객이 공감하게 만들고 싶으니까요. 자학이라고 보실 수도 있지만 그런 개념이라기보다 자기 만족이라고 생각해요."



재밌는 것은 인터뷰 내내 그의 얼굴에는 미소가 만연했다는 것이다. 연기에 대한 고민으로 가득 차 있지만 늘 부드러움과 상냥함을 잊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또 다른 진가가 "내 얼굴이다"라며 호탕하게 웃는 모습 때문일까 이제는 연기에 대한 고민을 즐길 줄도 아는 천상 배우의 자질을 지녔다.



영화와 드라마, 연극 무대까지 포함하면 배우로서 벌써 20년의 경력을 가진 김태훈은 아직 '잘 했다 싶은 작품'이 없다며 부끄럽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어떤 작품을 하고 싶냐고 묻는 질문에 역시나 배우다운 대답을 내놨다.

"보는 분들이 공감하고 그것에 대해 마음이 움직이는 작품의 한 역할을 담당해서 잘 전달하고 싶어요. 기왕이면 그걸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좋겠어요. 어렵죠. 이상적인 작품일테니까요. 그래도 그런 작품에서 연기를 잘 해내면 한 번 정도는 만족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