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SK텔레콤이 16일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기술 진화 방향'을 주제로 한 포럼을 개최했다.
SK텔레콤은 IBM 등 글로벌 기업을 비롯해 인공지능과 관련해 산·학·연을 아우르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개발자가 참석한 이 자리에서 국내외 로보틱스와 인텔리전스 기술 개발 동향을 논의하고 자사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날 행사에서는 특히 컴퓨터가 마치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인 '딥 러닝'(Deep Learning)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래 예측이 가능해져 인공지능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대식 KAIST(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유튜브 상의 강아지와 고양이도 구분하지 못하던 인공지능 기술이 '딥 러닝' 기술을 맞이하면서 판도가 바뀌고 있다며 "컴퓨터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사물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신경망 형태의 구조를 만들 수 있고, 확보된 데이터의 속성을 분석해 미래까지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 최초로 시각장애인이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를 만든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최초의 성인 휴머노이드 로봇 '찰리'(CHARLI), 인공 근육을 탑재한 화재 진압 로봇 '사파이어'(SAFFiR)' 등을 소개했다.
IBM은 2011년 미국의 한 퀴즈쇼에 출전해 역대 우승자 2명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한 자사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왓슨'(Watson)을 들고 왔다.
외부 전시장에는 SK텔레콤의 사이버 개인 비서 서비스인 '비-미(BE-ME) 플랫폼'과 아트센터 나비의 다양한 감성 로봇들이 진열돼 눈길을 끌었다.
2012년 인공지능 등 인텔리전스 기술 개발에 착수한 SK텔레콤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인공지능을 포함해 국내외에서 개발 중인 다양한 미래형 서비스를 발굴하고, 대표적 상생 공간인 'T오픈랩'과 연계해 관련 생태계 활성화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