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교과서' 대응 전국교육감 회동…긍정 7·부정 3·유보 7
지난 5월 29일 열린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사진=김승환 전북교육감
>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정부발 국정교과서에 맞서 진보 성향의 교육감들이 '대안 교과서'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지만 교육감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려 실제 개발까지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많다. 현재까지 광주, 전북, 강원 등 7곳이 대안 교과서 개발에 긍정 입장이고 3곳은 부정, 나머지 7곳은 유보적인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는 15일 오후 4시 강원 강릉시 라카이 샌드파인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대안 교과서와 보조 교재 공동 개발 등 국정교과서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진보 교육감들의 대안 교과서 개발 방침은 '선언' 단계에 불과했지만 이 자리에서 각 교육청의 입장 차를 조율하고 개발 여부 등 구체적인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입장 차이를 좁혀 대안 교과서 개발에 착수하게 될 경우 선봉장은 광주와 전북 등 진보 교육감들이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 전환을 밝힌 12일 "(국정 교과서는) 정권 교과서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비난하며 대안 교과서 개발에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서울·인천·충북·강원·세종·광주·전북교육청 등 7곳은 대안교과서나 보조 교재 개발에 적극 찬성이다. "국정 교과서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전남과 이날 회의에서 논의해보고 결정하겠다는 경남·부산·제주 등 4곳은 유보적인 입장이다. 찬성 7곳이 유보적 입장인 이들을 설득할 경우 과반을 훌쩍 넘는 11곳이 대안 교과서 개발에 찬성하게 되는 셈이다. 그러나 시도별 이해관계가 다르고 내년 총선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무조건적인 찬성 입장을 보이긴 힘들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경기 교육청의 경우 "국정 교과서 저지가 우선"이라고 밝히면서 대안교재 개발은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고 확고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전·충남도 현재까지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추이를 살피고 있다.
>
반면 울산·대구·경남 3곳은 국정 교과서 전환에 대해 적극 찬성 입장이다. 김복만 울산시교육감은 국정화 전환에 대해 "우리나라가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라는 특수 상황을 고려해 한국사는 균형 잡힌 한 권의 국정화 교과서로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영우 경북도교육감과 우동기 대구시교육감 또한 마찬가지로 "교육 중립 차원에서 국정화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라 입장을 바꾸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 같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대안 교과서 개발이 현실적으로 힘들 것이라는 게 교육계 대체적인 분석이다. 1년 여 안에 개발과 제작까지 집필 시간이 현실적으로 부족하고, 입장차, 개발 비용 마련도 전혀 논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진보 교육감을 중심으로 나온 대안 교과서 개발 논의가 전국 교육감으로 확대되면서 일선 학교의 혼란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