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카드가 삼성전자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삼성페이(Samsung Pay)'에 대한 전자전표 수거 수수료를 지급하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이에 대해 밴(VAN)사들이 반발하고 있다.
18일 금융계에 따르면 현대카드는 삼성페이 결제에 한해 전자전표를 수거하지 않기로 하고 13개 밴사에 지난달 통보했다.
밴사는 카드사를 대신해 카드결제 승인을 중개하고 가맹점을 관리하는 회사인데, 가맹점에서 매출 전표를 거둬들여 수수료를 받고 카드사에 넘긴다.
현대카드가 삼성페이 결제에 따른 매출전표를 수거하지 않기로 한 것은 결제과정에서 지문 인식과 같은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는 삼성페이의 특성상 제3자의 불법 결제 등의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작기 때문이다. 카드사 입장에서는 전표를 넘겨받을 이유가 사실상 없어진 셈이다.
더욱이 현대카드의 이같은 결정을 계기로 전자전표 수수료 지급 거부 움직임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페이 외에도 다양한 간편 결제 시스템이 등장하고 이를 활용한 결제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페이의 경우 출시 한 달여 만인 지난달 말 누적 결제액 350억원을 돌파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밴 업계는 매출의 20∼30%를 차지하는 전표 매입 수수료 수입이 사라질 가능성 때문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밴 업계 관계자는 "결제 시장의 변화는 인정하지만 시간을 두고 새 제도를 안착하는 것도 아니고 충분한 협상도 없어 너무 갑작스럽다"며 현대카드를 비판했다.
밴 업계는 현대카드의 조치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의견을 전달하는 한편 삼성전자에 중개 수수료를 요구하는 방법을 검토중이다.
이 관계자는 "기존의 밴사 기간망을 쓰면서 아무런 대가도 지급하지 않는 삼성전자가 현재 최대 수익자"라며 "삼성전자에 밴 수수료를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