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원로 600여명 "역사왜곡 강요하는 국정교과서 반대"
>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시민사회 원로와 활동가 등 600여명이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시국선언'을 했다. 대학교수 200여명도 이날 성명을 내고 교과서 집필거부 선언 등을 이어갔다.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시국선언을 하고 "교육의 획일화와 위험한 역사왜곡을 강요하는 국정교과서 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시국선언에는 최영도 전 국가인권위원장, 이신호 한국YMCA 이사장, 김신일 전 교육부총리,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 소설가 김훈·조정래씨 등 600여명이 이름을 올렸다. 참여연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300여개 시민·사회·여성·종교단체도 참여했다.
이들은 "과거 한국사 국정 교과서가 박정희 유신 독재체제를 미화하고 학생들에게 획일적이고 무비판적인 역사관을 주입하는 도구로 기능했지만, 민주주의를 뿌리내리려는 오랜 노력의 결실로 2003년 역사교과서 검인정제도를 성취하고 2011년부터 검인정 교과서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박근혜 정부가 시민사회는 물론 보수언론까지도 반대했던 국정교과서제도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자신의 이해관계에 들어맞는 획일적인 역사해석을 강요하고 기득권을 지키려고 반역사적인 시도를 감행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외국 언론들도 한국 민주주의의 퇴행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는 그간 경제발전과 민주화의 성과를 통해 한국이 쌓아온 국제사회의 신뢰와 기대를 갉아먹는 행위"라고 날을 세웠다.
이날 서강대 교수 91명은 '역사교육의 상식 회복을 위하여'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 국정화 철회를 주장하며 앞으로 국정교과서 관련 작업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교수들은 "권력의 속성상 역사 서술과 해석을 전유하려는 유혹에 빠지기 쉽지만, 그런 시도는 많은 고통과 희생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며 "상식 밖의 국정화를 획책하기보다 입시 위주 교육의 폐해를 극복해 청소년에게 희망을 주는 교육을 하는 데 전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대 교수 111명도 성명을 통해 "정부가 역사학계와 교육계를 비롯한 각계각층의 거센 반대에도 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강행하려 한다"며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 목소리를 냈다.
서울대 국사학과 대학원생과 강사들도 이날 반대 성명을 냈고, 서울 인헌고 학생 20여명도 오후 7시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지사 앞에서 정부의 단일교과서 방침에 반대하는 집회를 연다. 21일에는 역사학자 이이화씨 등 역사 분야 원로 교수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역사 교과서 집필에 협력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