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5자회동' 의제·전략 최종 점검…"대변인 배석 무산 유감"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22일 오후 박근혜 대통령과의 여야 지도부 5자 회동을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이 의제와 전략을 점검하며 청와대 회동에 대비했다. 회동에 대변인 배석이 이뤄지지 못한 점에 대해선 유감을 표했다.
새정치연합은 이번 회동에서 중점적으로 제기할 2대 현안과 3대 민생과제를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외교안보 문제를 2대 현안으로 설정하고 청년 일자리·전월세 문제·가계부채를 3대 민생과제로 꼽았다.
김성수 대변인은 "외교 안보는 최근 논란이 된 자위대 파병문제, 한국형 전투기(KF-X) 문제, 남북평화 의제를 다룰 것"이라고 전했다.
새정치연합은 정국의 최대쟁점인 교과서 국정화 문제에 대해 민생을 회복하고 국론 분열을 막기 위해 국정화 철회가 필요하다는 접근법을 취하기로 했다. 문 대표 측은 "여권이 '민생(청와대·여당) 대 이념(야당)' 구도로 회동의 성격을 규정하려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에 말려들면 안된다"며 "민생이 최우선인데 교과서 문제로 국론을 분열시키면 안된다는 식으로 접근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새정치연합이 이번 회동이 교과서 국정화 철회 등 대승적 합의가 나오기는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야당으로서 할 수 있는 말에 초점을 맞출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아침 "'나쁜 합의'보다 '좋은 결렬'을 택하겠다. 좋은 결렬이야말로 향후 좋은 합의의 출발점이 된다"며 무리한 수용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편 새정치연합은 회동 내용을 국민에게 상세히 전하기 위해 대변인 배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청와대의 완강한 태도로 결국 성사되지 못했다.
김 대변인은 "국민에게 정확히 알리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한데, 청와대의 거부로 알 권리가 침해받게 됐다. 청와대의 이해못할 처사에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