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스마트폰 값을 부담스러워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이 전에 없이 활발해지고 있다. 기술 발달로 사양이 상향 평준화된 영향도 있다. 대리점 판매원들도 이제는 고객에게 '웬만하면 쓸만하다'며 중저가 스마트폰을 권한다. 지원금을 감안하면 20만~30만원 수준에 살 수 있는 제품들이다.
쓸만한 중저가 스마트폰의 대표제품이 구글 '넥서스5X'다. 지난 20일 정식 출시된 넥서스5X는 구글의 차세대 운영체제(OS) '마시멜로'를 최초 탑재한 스마트폰이자 가장 최적화된 기종이다. LG전자와 손잡고 만든 하드웨어 성능도 프리미엄폰에 크게 뒤지지 않는다. 4K UHD 동영상 촬영과 'USB C타입' 포트를 적용해 연결 편의성을 높였다.
이는 중저가 스마트폰 열풍을 본 국내 이동통신 3사 모두가 넥서스5X를 취급한 이유다. 가격 대비 성능이 좋다고 판단한 것이다.
LG유플러스와 KT는 출시 당일부터 '출고가 인하' 카드를 썼다. 16GB 모델은 47만5200원, 32GB 모델은 53만5700원이다. 3만3000원 내린 가격이다. 3만원대 최저 요금제를 선택해도 30만원 초반대에 구입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높은 지원금으로 구입 부담을 덜었다. 10만원대 최고 요금제 기준으로 16GB 모델(출고가 50만8200원)은 12만8700원, 3만원대 최저 요금제로는 37만4800원에 구입할 수 있다.
최신 중저가폰 가운데는 영상, 게임 등을 즐기는 고객을 대상으로 나온 제품도 있다. 지난 20일 온라인 쇼핑몰 11번가에서 단독 출시된 레노버 '팹플러스'는 17.27㎝(6.8인치) 대화면에 고품질 음향 기능을 강조한 제품으로 39만9000원이다.
각 이동통신사별 주력 중저가 제품도 있다. 지원금을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하거나 단독으로 저렴하게 출시하는 제품이 늘어나는 추세다.
최근 인기를 얻은 SK텔레콤의 전용 스마트폰 '루나'는 최저 요금제를 사용해도 지원금을 받으면 33만원에 살 수 있다. 13.97㎝(5.5인치) 풀HD 디스플레이와 2.5㎓ 쿼드코어 모바일프로세서, 3GB 램(RAM)등 사양도 프리미엄급 못지 않다는 평가를 받으며 인기 몰이 중이다.
KT는 갤럭시센스를, LG유플러스는 LG클래스를 지속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두 제품 모두 최저 지원금을 받아도 20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는 제품들이다.
중저가 스마트폰 돌풍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KT경제경영연구소의 조사 결과, 향후 중저가폰 구매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소비자가 조사 대상의 절반(51.6%)을 넘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 가격이 부담스러워도 쓸만한 제품이 없어서 결국 프리미엄 제품을 구입하던 고객군이 가격대비 성능이 합리적인 중저가 스마트폰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