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금융지주 실적 신한 군계일학

금융지주사의 올 3·4분기 실적 성적표는 신한금융이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유일하게 7000억원 가까운 순이익을 달성하며 '리딩뱅크' 자리에 올라섰다.

반면 KB금융과 하나금융은 작년보다도 순이익이 줄어들면서 신한과의 격차를 실감했다.

주로 예대 마진 차이를 의미하는 순이자마진(NIM)이 저금리 기조 여파로 작년 동기보다 줄어 들었지만 양호한 대출증가율, 대손충당금 적립 감소로 금융지주사의 올 순이익은 지난해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융지주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올 3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7.4% 증가한 6790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이는 KB금융(4071억원)과 하나금융(2534억원)이 3분기에 거둔 실적을 더한 것보다 많은 수치다.

분산된 사업 포트폴리오와 리스크 관리의 힘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신한금융이 3분기까지 거둔 순이익 가운데 은행 비중은 59%로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작다. KB는 은행 비중이 67%, 농협은 70%, 하나는 88% 수준이다.

주력 계열사 신한은행의 3분기 순이익은 4625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7.5%, 전분기보다 15.5% 증가했다.

KB국민은행(2336억원), KEB하나은행(2281억원), NH농협은행(1308억원)의 3분기 실적보다 각각 2~3배 많은 성적이다.

은행 연체율도 0.43%로, KB국민은행(0.45%), KEB하나은행(0.79%), NH농협은행(0.79%)보다 낮다.

신한금융은 올해 3분기까지 거둔 누적 실적에서도 단연 선두다. 1조9631억원의 순이익을 내 KB금융(1조3517억원), 하나금융(1조23억원), 농협금융(6197억원)을 멀찌감치 따돌렸다.

2위인 KB금융과 순이익이 6000억원 넘는 격차가 벌어져 올해도 신한금융이 금융지주사 실적 1위에 오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신한금융은 지난 2008년부터 순이익을 기준으로 1위 자리를 지켜왔다.

올해 1분기에 '깜짝 실적'으로 신한금융을 제쳤던 KB금융지주는 이번 3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8.8%(391억원) 떨어진 4071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다만 전분기 보다는 19.9% 개선됐다. 부진의 원인은 2440억원에 달하는 영업외손실이 크게 작용했다.

포스코 주식에 대한 평가손실이 877억원에 달했다.

SK주식 매각이익(122억원)을 제외하고 뚜렷한 일회성 이익도 없었다.

전분기에는 안심전환대출 채권 매각이익(618억원), 주택도시보증공사 주식 매각이익(1382억원)이 있었다.

하나금융지주도 작년 동기보다 8.2%(226억원) 떨어진 2534억원의 순이익을 올리는 데 그쳤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통합에 따른 일시적 비용이 발생하면서 판매관리비가 2분기보다 779억원(7.7%) 늘어나 타격이 컸다.

NH농협금융은 작년 동기보다 2.7%(47억원) 증가한 1827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233억원이 늘어났지만 판매관리비 등이 증가해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