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 이동통신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과 케이블TV 1위 사업자인 CJ헬로비전이 한 몸이 된 '공룡 방송·통신사'가 등장하자 KT와 LG유플러스 등 경쟁 사업자들이 공정경쟁이 저해될 수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지난 2일 콘퍼런스 콜에서 "CJ헬로비전 방송 가입자는 415만명이지만 인터넷 가입자는 88만명"이라며 "번들률 상향으로 인터넷 가입자를 늘릴 수 있다"고 밝혔다.
번들(Bundle)률 향상이란 쉽게 말해 결합상품 판매를 말한다. 결합상품은 소비자가 다양한 유·무선 서비스를 묶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같은 회사의 초고속인터넷이나 유선방송 등을 한꺼번에 가입할 경우 이들을 별도로 구매하는 것보다 가격이 저렴해 인기가 많다.
경쟁사들은 결합상품 판매가 시장 지배력을 전이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CJ헬로비전의 케이블TV 시장 지배력이 인터넷 시장 지배력으로 이어지면 후발주자들이 고사할 수 있다는 논리다.
앞서 이동통신 시장은 지난 5월 정부의 결합상품 판매 가이드라인 마련을 앞두고 SK텔레콤과 반(反)SK텔레콤 진영으로 나뉘어 한 차례 시장 지배력 전이 이슈로 격론을 벌였다.
당시 SK텔레콤은 결합상품 판매가 소비자 후생 증대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고, KT와 LG유플러스가 속한 반SK텔레콤 진영은 공정경쟁 저해로 오히려 소비자에 피해를 준다고 반박했다.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를 둘러싼 시장 지배력 전이 논란은 이미 불이 지펴진 상태다.
KT 측은 "SK텔레콤의 무선시장 지배력은 유선시장에 지속적으로 전이돼 왔다"며 "유선에 이어 유료 방송 서비스 전반이 끼어 팔기 상품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인수는 알뜰폰 사업자를 육성한다는 정부 정책 기조에도 위배된다"면서 "SK그룹의 영향력 하에 있는 알뜰폰 가입자가 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게 돼 SK텔레콤의 시장 지배력이 알뜰폰 시장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KT망을 이용하는 85만 알뜰폰 가입자를 SK텔레콤이 관리하는 비정상적인 현상이 발생해 고객의 서비스 편익은 뒷전으로 내몰릴 것이라고 봤다.
LG유플러스도 "소비자 편익 감소, 무선 시장 지배력 전이에 따른 경쟁 활성화 전해, 불공정 거래 행위 양산, 시장 고착화 등을 통해 창조경제가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CJ헬로비전 인수가 정부 인가를 받고 최종 성사되기 전까지 시장 지배력 이슈가 계속 제기될 것"이라며 "SK텔레콤과 반SK텔레콤 진영 간의 2라운드 전쟁이 시작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