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우리나라의 롱텀에볼루션(LTE) 이동통신 가입자가 400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2월 LTE 가입자 3000만명을 넘어선 지 1년 7개월 만이다. LTE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LTE 데이터 사용량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이동통신사의 데이터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4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국내 LTE 이동통신 가입자는 4031만1761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5842만2223명의 69%에 달하는 수치다.
사업자별로 살펴보면, LTE 가입자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LG유플러스다. LG유플러스는 3·4분기 기준으로 자사 가입자의 81%에 달하는 953만명이 LTE를 쓰고 있다. KT의 경우 69.3%에 달하는 1233만명이 LTE 가입자다. SK텔레콤의 LTE 가입자 비율은 64.8%로 1846만5000명에 달한다.
반면 3·4분기 가입자 1인당 평균매출(ARPU)은 LG유플러스가 3만6294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8%, 전 분기보다 0.9% 줄어들었다. KT는 3만6193원으로 전 분기보다 0.4% 늘었지만, 2·4분기 당시 1.4% 늘어난 것에 비하면 증가폭이 줄었다. SK텔레콤의 경우 3만6729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0.9%, 직전 분기 대비 0.3% 늘어난 수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상황이 비관적이지만은 않다. 업계와 증권가에서는 조만간 데이터 사용량 증가로 데이터 매출 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LTE 데이터 트래픽은 가파르게 상승하는 상황이다. 미래부에 따르면 9월 LTE 데이터 사용량은 15만2338테라바이트(TB)로 지난해 9월 10만3067TB와 비교해도 1년 만에 50% 가까이 늘어났다. LTE 가입자 1명당 사용량도 3981메가바이트(MB)에 달한다.
KB투자증권의 정승규 애널리스트는 "LTE 가입자와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했지만, 요금제 개편과 20% 요금할인 확대가 ARPU 상승을 저해했다"며 "데이터 중심 요금제 가입자가 1000만명이 넘어서고 모바일 스트리밍 시장이 확대되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ARPU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일반 소비자의 데이터 사용량 증가가 통신사의 실적을 견인할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변화의 원인으로 저용량 동영상 스트리밍 증가를 꼽는다.
최근 소비자들의 자투리 시간을 공략하고 있는 TV캐스트는 영화와 달리 짧은 분량의 동영상이 주를 이룬다. 포털전용 예능 프로인 '신서유기'와 같은 TV캐스트의 분량은 회당 약 10분 정도로, 동영상 용량으로 환산할 경우 200MB(HD급 기준) 정도다. 소비자들은 저용량 동영상 시청에 따른 데이터 소비를 부담스럽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 같은 트렌드를 타고 대표적인 TV캐스트 '신서유기'의 경우 회당 170만회가 재생됐다.
유진투자증권의 김준섭 연구원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접하는 것이 선호되고 있다"며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소비가 많으면 이통사의 가입자당 평균매출 향상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