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상해 차이나유니콤 인큐베이션 센터에서 한국과 중국 벤처기업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난 후 차이췐건 차이나유니콤 상하이 총경리, 이응상 SK텔레콤 글로벌사업개발부문장, 한석희 상하이 총영사, 임종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왼쪽 세번째부터)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SK그룹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한국 창조경제와 중국의 대표적 경제활성화 정책인 대중창업(大衆創業·수많은 사람의 무리가 창업 한다는 의미)이 중국에서 만나 벤처 생태계를 본격 활성화시킨다.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대전센터)와 SK텔레콤, 중국의 국영 통신업체인 차이나유니콤은 10일 상하이 차이나유니콤 인큐베이션 센터에서 양국 벤처기업 투자유치를 지원하는 투자설명회를 개최했다. 국내 창업 보육기관이 외국 기업과 공동 인큐베이팅하며 해외 투자 유치에 나선 첫 사례여서 주목된다.
투자 설명회에서는 3자가 지원 인프라를 구축해 공유하고 맞춤식 컨설팅 등 각종 지원을 통해 벤처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가 체결됐다.
이날 투자설명회에 앞서 대전센터와 SK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은 '한·중 혁신 인큐베이션 센터' 현판식을 가졌다. 이들은 각자의 창업 시스템을 교차 지원하면서 성공 벤처 사례를 만들어 내기로 결의했다. 차이나유니콤은 중국 2대 국영 통신사로 통신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기술벤처 인큐베이팅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대전센터, SK텔레콤과는 벤처기업 발굴·육성 수준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손 잡았다. 대전센터 등은 육성 중인 벤처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에 필요한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투자설명회에는 벤처기업에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샤오미 등 유명 기업 투자 담당자와 IDG, Sequoia, 상하이 벤처캐피탈 등 유수의 투자기관에서 200여 명이 참여했다.
대전센터는 와이젯(근거리 기기간 무선송수신 기술 응용 제품), 이지벨(스마트폰으로 만드는 3D 얼굴 모델링 솔루션) 등 4개 업체, SK텔레콤은 비주얼캠프(아이 트레킹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등 3개 업체를 참가시켰다. 중국에서는 차이나유니콤 인큐베이션 센터에서 보육중인 4개 벤처기업이 참여했다.
대전센터 관계자는 "앞으로 '차이나 머니'를 유치하고 중국과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성공 사례를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업은 창조경제센터가 중국 기업에 창업지원 시스템을 전수하고 벤처기업 공동 육성에 나선 첫 사례다.
임종태 대전센터장은 "중국 기업과 정부도 한계 극복 및 성장을 위해 민관이 협력해 유망 벤처를 키워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창조경제를 벤치마킹하고 있다"면서 "양 국가와 기업의 성공 사례를 접목시켜 한·중이 합작한 '대박 벤처'를 만들어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