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3분기 실적 시즌 끝나니, 이번엔 신용강등 공포가

# 나이스(NICE)신용평가는 지난 13일 대우조선해양의 장기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내리고 하항검토 등급 감시 대상에 등재했다. 실적 악화와 과도한 재무부담 등이 근거였다. 한국기업평가는 한진해운 무보증사채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BB+'로 내렸다. 한기평은 "영업현금창출력과 과중한 차입부담 등으로 유동성 위험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삼성엔지니어링도 부진한 실적 탓에 작년 'AA-'에서 최근 'BBB+'로 등급이 급전 직하했다. 삼성그룹 계열사로는 첫 BBB급 신용이다.

3·4분기 실적 민낯이 공개되면서 기업들이 신용강등 공포에 휩싸였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기업은 회사채 발행을 위해 고금리를 제시해야 하고, 이도 안 되면 은행으로 발길을 돌려야 한다. 신용등급이 하향되면 자금 조달에 드는 비용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부실해지는 기업이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 된다.

특히 빚 더미에 앉은 한계기업은 하루하루가 살얼음판이다. 정부의 좀비기업 솎아내기의 희생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 신용등급 강등 공포

18일 국내 3대 신용평가사인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1∼10월 신용등급이 강등된 기업은 45개사(부도 1개사 포함)로 나타났다. 1998년 외환위기(61개사)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도 신용등급 강등 기업은 각각 33개, 34개 정도였다.

신용평가사인 나이스 신용평가는 올해 들어 10월까지 56개 기업의 신용등급을 내렸고, 한국기업평가는 1∼9월에 42개(부도 2개사 포함) 기업 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시장에서는 3·4분기 성적이 나쁜 기업을 중심으로 무더기 신용 강등 사태를 걱정한다.

한국거래소가 상장사 498개사를 분석한 결과, 3·4분기까지 누적적자를 낸 곳은 104개사(전체 상장사 대비 20.88%)였다. 3·4분기로 좁히면 140개(28.11%)로 늘어난다.

유안타증권 유태인 연구원은 "연말이 가까워 갈수록 신용평가사들의 정기평가 시즌 도래로 신용등급 변동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경험적으로도 4~6월, 10~12월에 신용등급 하락이 많은 계절성을 나타냈다. 신평사들이 3월 말까지 발표된 결산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4~6월 평정(평가해 결정)을 하고 있고, 8월 말까지 발표되는 반기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10~12월 등급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기업 구조조정도 부담

정부의 좀비기업 퇴출 작업도 부담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 손소현 연구원은 "크레딧 이슈 업종(조선, 해운, 철강, 건설, 석유화학) 전반에서 한계기업 비중이 높다"면서 "A~BBB등급에 속한 비우량 크레딧물의 절반 이상이 크레딧 이슈 업종에 속해 있어 기업 구조조정이 진행됨에 따라 향후 비우량등급 크레딧 스프레드(금리차)의 추가적인 확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문창호 한국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장은 "미국의 금리 인상, 중국의 성장 둔화, 엔화 약세 등 대외 환경이 개선되기 쉽지 않고 기업들의 실적 회복이 전반적으로 늦어지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까지는 기업신용등급 강등 추세가 반전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신용 강등 우려까지 커진 기업들의 고민은 더 크다. '신용등급 하락→자금조달 금리 상승→투자 어려움→실적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차환발행이 쉽지않아 자산유동화 등 대체조달 수단을 모색했지만 이마져도 여의지 않았다"면서 "상황이 더 나빠지면 급전이라도 빌려써야 할 형편이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