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섬유산업 발전에 북한 경제협력 도움 정도/중소기업중앙회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섬유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섬유산업의 발전을 위해 남북경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중소기업중앙회(박성택 회장)가 섬유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북한 내 중소기업전용 섬유클러스터 조성 사전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섬유 중소기업의 58.7%가 북한과의 경제협력에 대해 국내 섬유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북한 내에 중소기업전용 섬유클러스터가 중국 청도공단이나 베트남의 탄투언공단과 유사하거나 나은 조건으로 조성될 경우 '참여 의사가 있다'고 밝힌 기업도 40%에 달했다.
북한내 중기전용 섬유클러스터 참여의향 또한 64.1%에 달하는 등 북한과의 경제협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남북경협의 경험이 있는 기업의 경우 이 비율이 84.6%까지 상승했다.
북한내 중기전용 섬유클러스터 조성시 지리상 가장 적합한 지역으로는 72.3%가 '개성'을 선택했다. 해주(11.3%), 평양(4.0%), 신의주, 원산, 나진·선봉(이상 2.0%)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북한내 중기전용 섬유클러스터 조성시 참여의향이 있는 기업들은 '북한의 저렴한 인건비 활용'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섬유 중소기업들은 북한내 중기전용 섬유클러스터가 조성되기 위해서는 '북한의 불안한 정치상황과 남북관계 경색'(57.3%), 전력, 용수, 통신 등 인프라 구축'(44.3%)을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재권 중기중앙회 섬유산업위원회 위원장은 "섬유 중소기업들은 대외적으로는 한-중 FTA, TPP로 힘들고, 대내적으로는 극심한 내수부진과 인력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북한 내에 중소기업전용 섬유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침체된 섬유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발전의 대안으로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