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창조경제혁신센터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중소기업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기관의 협력과 정부의 통합 컨트롤타워 역할이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소기업연구원은 10일 '창조경제혁신센터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14년 9월 15일 대구에서 개소된 이후 지난 7월 22일 인천을 마지막으로 전국 17개 지역에 갖춰졌다. 센터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창조경제정책을 구체화하는 시발점이자 추진 동력을 점화시키는 발화점이다.
중기연구원은 현 시점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중소기업과 우리 경제를 새롭게 변화시키는 추진 동력으로 성공할 수 있을지, 기존의 중소기업 지원기관과의 차별화를 통해 어떤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이현 선임연구위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공공기관으로 대표적인 곳은 중소기업진흥공단, 테크노파크(TP),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등이 있다"며 "이번에 새로 설립된 창조경제혁신센터도 그중 하나이며 이들 기관은 지원분야와 주요 지원대상 업종 등에서 차별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성공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협력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역량과 전문성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이 중요하다"며 특히 "활발한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잠재창업자로부터 창업희망자를 발굴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재창업에 대한 지원으로 창업 실패에 대한 두려움 제거도 필요한 업무"라고 역설했다.
창조경제를 위해 제한 없는 업종 지원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조 연구위원은 "공익성과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창의적 업종개발에 역점을 두고, 해외진출을 고려할 경우 신기술, 하이테크 업종만이 아닌 사업화가 가능한 적정· 중기술 업종에 대한 지원을 통해 해외진출의 확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조 연구위원은 그 방법으로 "창업과 중소기업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기관이 협업과 조정 기능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면서 "또한 여러 기관의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부 부처에서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