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음악은 듣는 이의 마음 깊은 곳을 건드린다. 루시드 폴(40·본명 조윤석)의 음악이 그렇다. 어쿠스틱 연주에 조곤조곤한 목소리로 노래하는 그의 음악에는 진심이 있다. 세상을 살면서 느끼고 생각한 것을 꾸밈없이 노래하기 때문이다.
15일 자정 공개된 루시드 폴의 정규 7집 '누군가를 위한,'은 지난 루시드 폴이 지난 2년 동안 겪은 것들을 담은 음반이다. 그동안 루시드 폴은 많은 변화를 경험했다. 2014년 8월 결혼했고 제주로 이주해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서울과 부산 등 줄곧 도시에서만 살았던 그에게 제주에서의 삶은 오랜 고민 끝에 내린 선택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전까지 몰랐던 나에 대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잖아요. 저에게는 지난 3~4년의 시간이 그랬어요. 저는 제가 사람들을 만나는 걸 좋아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사실은 내향적인 사람이라는 것을 굉장히 늦게 알게 됐죠. 평생을 도시에서 보냈지만 오히려 사람으로 붐비는 도시보다 한적한 바다와 산이 더 좋다는 것도 알게 됐고요. 마침 아내도 저와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었어요. 그래서 '시골로 가자'는 막연한 생각을 실행에 옮겼어요."
제주에서의 삶은 다양한 경험을 선사했다. 밭농사도 지었고 귤도 길렀다. 동네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에게 동화책을 읽어주기도 했다. 그렇게 2년의 시간을 보내면서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15곡의 노래로 만들었다.
이번 음반은 이색적인 마케팅으로 화제를 모았다. 홈쇼핑을 통해 자신이 직접 기른 귤을 앨범과 함께 판매한 것이다. 또한 앨범에는 직접 쓴 동화인 '푸른 연꽃'을 함께 실었다. 어떻게 하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음악을 전할 수 있을지 고민 끝에서 결정한 방식이었다.
"많은 분들이 이번 음반이 CD인지 책인지 궁금해 하세요. 사실 요즘은 음악을 모바일로 더 많이 듣잖아요. 그래서 음악과 함께 더 많은 걸 같이 드릴 수 없을까 고민했어요. 그래서 앨범과 함께 글을 묶게 됐죠. 여기에 직접 키운 귤까지 더한다면 조금이라도 더 많은 분들에게 앨범으로 음악을 들려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듣고 읽고 먹을 수도 있는 그런 앨범을 만들어보고 싶었습니다(웃음)."
루시드 폴은 늘 세상과 사람에 대해 노래해왔다. 이주노동자의 애환을 담았던 '사람이었네', 그리고 용산참사 희생자의 이야기를 넌지시 담았던 '평범한 사람'이 그런 노래들이었다. 이번 음반에서도 루시드 폴은 어김없이 세상을 이야기한다.
타이틀곡인 '아직, 있다.'는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세월호 참사를 노래했다. "손 흔드는 내가 보이니 / 웃고 있는 내가 보이니 / 나는 영원의 날개를 달고 / 노란 나비가 되었어"라는 가사가 듣는 이의 마음에 여운을 남긴다. "이유도 모른 채 / 죽어간 사람들은 / 4월이 오면 / 유채꽃으로 피어/ 춤을 춘다지"라는 가사를 담은 '4월의 춤'은 제주 4.3 사건 피해자들의 영혼을 위로하는 노래다.
그러나 루시드 폴은 자신의 노래가 어느 한 가지 의미로만 해석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노래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로 열어놓고 싶다"는 뜻에서다. 이번 음반에 대한 바람도 단 하나다. "음악인 루시드 폴로서, 그리고 사람 조윤석으로서 2014년과 2015년을 보내며 느끼고 본 것에 대한 기록"으로 다가가는 것이다.
새 앨범으로 돌아온 루시드 폴은 연말 공연을 통해 팬과 만날 계획이다. 그는 "계획을 미리 세우는 편이라서 벌써 내년 공연까지 고민하고 있다"며 웃었다.
"예전에 만든 음악은 뭔가 서툰 것 같아서 잘 안 듣게 돼요. 그런데 이번에 앨범 마스터링을 위해 도쿄에 갔다 우연찮게 1집부터 3집까지의 음악을 듣게 됐어요. '너는 내 마음속에 남아' '새' 같은 옛날 노래를 오랜만에 들어보니 '내가 안 변한 것도 있구나' 싶더라고요. 노래를 잘 하는 것도, 연주를 잘 하는 것도 아닌데도 많은 분들이 아직까지 제 음악을 듣는 이유인가 봐요(웃음)."
사진/안테나뮤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