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28일 한일 양국의 위안부 문제 타결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일부 할머니는 정부의 뜻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힌 반면 다른 할머니들은 법정 배상이 제외된 합의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피해 할머니 지원시설인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에서 타결을 지켜본 이옥선(89) 할머니는 "피해 할머니들이 이렇게 고생하고 기다렸는데 정부에 섭섭하다"며 "우리는 돈 보다 명예를 회복받아야 하고 그래서 사죄와 배상을 하려는 것"이라고 합의문에 법적 배상 표현이 제외된 점을 지적했다.
반면 유희남(88) 할머니는 정부 뜻을 따르겠다고 밝혔다. 유 할머니는 "정부에서 기왕에 나서서 올해 안으로 해결하려고 애쓴 것 생각하니 정부가 하신대로 따라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우리가 살아온 지난 날을 생각하면 지금 돈이 문제가 아니고 우리가 인간으로서 권리를 갖지 못하고 살아왔기 때문에 만족은 못한다"고 덧붙였다.
회담 결과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인 할머니들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과 관련해선 한 목소리로 이전을 결사반대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소녀상은 일본 정부가 세우냐 마느냐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해결의 주체이자 당사자인 피해 할머니들이 배제된 한일 외교장관 간 회담만으로 위안부 문제를 타결했다는 양국 발표에 대해서는 섭섭함을 감추지 못했다. 강일출(88) 할머니는 "우리는 강제로 끌려갔다"고 강조하고 "우리한테 물어보지도 않고 합의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 할머니는 "정부 관계자가 직접 와서 타결안에 대해 설명을 좀 해줬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기대를 많이 했고 우리 정부가 타결에 앞서 피해 할머니들에게 충분히 내용을 알려주고 협의과정을 거쳤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당황스럽다"며 "피해 할머니 한분한분이 피해의 당사자이기 때문에 생존한 46명이 모두 모여 협의과정을 거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