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TV 대체할 'OTT'놓고 방송·통신 진영 격돌

OTT 서비스에 진출한 사업자들.



국내 OTT 사업자 '티빙(Tiving)'



국내 OTT 사업자 '푹(pooq)'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 국내 미디어 사업자들이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인 'OTT(오버더톱·Over The Top)' 시장을 성장성 있는 미래 수익 산업으로 보고 사업 재편과 신규 서비스 출시에 몰두하고 있다.

OTT는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TV서비스를 일컫는다. TV에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통해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Over The Top)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 모두를 포괄한다. PC와 스마트폰 등 다양한 미디어 기기에서 동영상을 즐길 수 있다. 미국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세계 최대 OTT 사업자인 넷플릭스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올해 국내 OTT 시장의 규모는 2587억원으로 전년 대비 34.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 OTT 서비스가 자리 잡기 시작했던 2012년(1085억원)과 비교하면 불과 3년 만에 시장 규모가 두 배 이상 성장했다.

국내 OTT 사업자는 모바일 IPTV와 지상파 방송사들이 공동 운영하는 푹(pooq), CJ헬로비전의 티빙, 현대HCN의 에브리온TV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미디어 사업자들이 수익성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사업 재편에 나서고,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유료방송 업계 최대 이슈인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가 장기적으로는 OTT 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이란 분석이 나온다. SK텔레콤은 공시를 통해 "차세대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로서 기반을 확보하고, OTT를 포함한 뉴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성장을 추구하고자 한다"고 CJ헬로비전 인수 목적을 밝힌 바 있다.

SK텔레콤은 뉴미디어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달 모바일 동영상 플랫폼 '핫질(HOTZIL)'을 오픈한 바 있다. 핫질은 연예인, 인기 BJ, 전문 크리에이터 등 다양한 전문 콘텐츠 생산자에게 채널을 제공한다.

이와 별개로 CJ헬로비전 인수합병 매물에서 빠진 '티빙'은 2016년 1월 5일부터 CJ E&M의 콘텐츠로 서비스를 새단장한다. 새롭게 선보이는 티빙은 지상파에 이어 종합편성 채널도 빠진 채 tvN 등 CJ의 콘텐츠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처럼 통신 및 방송사업자들이 OTT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는 이유는 동영상 콘텐츠 시장의 중심이 모바일로 변화한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시장 성장성을 보았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닐슨 보고서에 따르면 OTT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가입자 방식의 주문형비디오(SVOD) 서비스 가입자들은 비가입자에 비해 콘텐츠 시청 시간이 평균 48분 길었다. 또 이용자의 25%가 35세 이하로 기존 TV 이용자보다 연령대가 낮다. 전문가들은 모바일 콘텐츠 소비에 익숙한 세대들이 향후 미디어 시장 판도를 전환시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2018년 경엔 미국 광고시장의 1위 자리도 TV에서 인터넷으로 넘어가고, 콘텐츠 시장도 자연스럽게 OTT, 모바일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내년 초 국내에 공식 진출하는 해외 OTT 사업자 넷플릭스를 견제하기 위한 움직임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넷플릭스의 전세계 가입자 수는 약 7000만명에 달하며, 2017년까지 서비스 제공 국가를 200개국으로 늘릴 계획이다. 경쟁사 대비 두드러지는 전략은 '자체 콘텐츠' 제작 역량이다. 넷플릭스는 그동안 예산의 10% 가량을 자체 콘텐츠 제작에 사용했지만, 2016년부터는 투자액을 최대 50%까지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삼성증권 양승우 연구원은 "유튜브가 UCC 기반 콘텐츠를 유통하는 무료 플랫폼이라면 넷플릭스는 드라마·영화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유료 플랫폼"이라며 "유튜브가 K팝의 현재 위상에 기여한 점을 고려한다면, 넷플릭스의 아시아 진출 과정에서 CJ E&M, SBS 등의 국내 콘텐츠 업체는 새로운 기회를 맞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