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의 경기 둔화 등 'G2 리스크'가 신흥국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5일 LG경제연구원은 '2016년 세계 경제 리스크 진단'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G2 리스크가 올해 세계 경제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LG경제연구원은 중국의 경착륙 리스크가 높아지면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이는만큼 두 위험 요인이 동시에 확대될 가능성을 적을 것으로 진단하면서도 "G2 리스크는 상당 기간 신흥국 경제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대외 부채가 많은 신흥국들을 중심으로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채무 부담을 크게 느낄 것으로 보인다.
LG경제연구원은 "우리 경제는 튼튼한 외환 방어막과 높아진 국가신용등급을 배경으로 미국 금리의 직접적인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그러나 다른 신흥국 경제가 위축될 경우 악영향이 전염될 가능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경제의 불안감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안정적 성장과 구조조정 및 개혁 간 균형잡기에 실패한다면 최악의 경우 중국 경제가 경착륙하는 상황을 배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난해 3월 중국 기업의 부채 잔액은 GDP(국내총생산) 대비 161.3%로 높고 상하이와 선전 증시의 상장종목 가운데 '좀비기업(순이익이 3년 연속 마이너스인 기업)'은 10%에 달한다.
이와 함께 LG경제연구원은 올해 세계 각국이 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자국 통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환율전쟁'에 나설 것으로 관측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유럽연합(EU), 일본 등 나머지 선진국들과 중국, 인도,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국들은 수출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이어갈 것이라는 예상이다.
세계 경제를 위협할 또 다른 요인으로 중동에서 IS(이슬람국가)를 둘러싼 분쟁을 꼽았다. 이 같은 요인으로 국제유가가 급등할 수 있고 유럽의 이민정책이 테러 우려로 더 보수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LG경제연구원은 "세계 교역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