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뮤지컬 '드라큘라' 김준수·박은석이 기다린 400년 사랑

드라큘라 김준수./오디컴퍼니



뮤지컬 '드라큘라' 김준수·박은석이 기다린 400년 사랑

강홍석·진태화·이예은 합류…최강 라인업

뮤지컬 '드라큘라'가 더욱 완성도 높은 무대로 돌아왔다.

2004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세계 각국에서 사랑을 받아온 뮤지컬 '드라큘라'는 아일랜드 소설가 브램 스토커의 동명 소설을 천재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의 음악으로 버무린 작품이다. 2014년 한국 초연 당시 프로듀서 신춘수,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 연출 데이비드 스완, 음악감독 원미솔 등 최고의 크레에이티브 팀이 참여했으며 무대 예술로 제9회 더뮤지컬어워즈 무대상을 수상했다.

초연 무대에서 압도적인 티켓 파워로 '전석 매진'을 기록한 김준수는 이번 공연을 통해 업그레이드 된 드라큘라를 선보인다. 더불어 함께 열연했던 박은석도 이번 무대에 함께 더블 캐스트로 무대에 오른다.

26일 오후 세종문화예술회관에서 진행한 '드라큘라' 프레스콜에서 김준수는 "더욱 인간적인 뱀파이어를 표현하며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드라큘라'는 언제고 다시 무대에 오른다면 함께 하고 싶은 작품이고 나를 더 발전하게 만들어준 작품"이라며 "초연 때 미처 다 전하지 못한 이야기와 연기적인 부분을 관객에게 전하겠다"고 말했다.

박은석은 "재연 무대를 준비하면서 '드라큘라' 소설도 다시 읽어보고 열심히 인물 분석에 열을 올리고 있다. 단순히 남녀 간의 사랑이 아닌 운명의 완성을 보여드리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드라큘라의 연인 '미나'역에는 배우 임혜영이 원캐스트로 무대에 오른다.

드라큘라에 의해 사랑하는 여자를 잃고, 뱀파이어 헌터가 된 반헬싱 교수는 강홍석이, 약혼녀 미나를 끝까지 사랑하는 조나단 역은 배우 진태화가 연기한다. 미나의 친구이자 재기발랄한 여인 루시 역에는 이예은이 캐스팅됐다.

이날 김준수는 본인의 목소리에 대해 입을 열었다. 호소력 짙은 목소리와 강렬한 카리스마를 내뿜는다지만, 개성있는 목소리이기에 호불호가 갈린다. 이에 "사실 내 목소리가 평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가수치고도 음색이 독특한데 성악적인 요소가 가미된 뮤지컬에서는 더욱 도드라지게 특이하다고 생각될 게 분명하다. 하지만, 김준수의 색깔과 노래, 연기가 보고싶어 찾아오시는 분들이 분명히 있다. 모든 배우들이 똑같은 음색으로 노래하고 연기한다면 지루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독특한 음색 또한 내 매력이라고 생각하고, 굳이 다른 배우들의 목소리와 톤을 따라하고 싶지 않다"고 소신있는 발언을 했다.

이에 프로듀서 역시 "김준수 배우의 목소리와 절절한 감성은 드라큘라와 훌륭하게 매치가 된다고 생각했다. 배우들의 목표와 지향점은 작품의 성공 단 하나다. 하지만 무대 위에서의 감정 표현은 제각각이다. 관객입장에서는 배우들의 차이점을 발견하는 게 더블캐스팅의 매력이기도 하다"고 덧붙엿다.

실제로 드라큘라를 연기하는 김준수와 박은석의 표현력은 살짝 다른 부분이 있다. 김준수가 연기하는 드라큘라가 사랑하는 여인을 400년 동안 기다렸다면, 박은석이 연기하는 드라큘라는 400년을 기다리는 동안 사랑에 눈 뜬 느낌이 강하다.

박은석은 "실존하지 않는 드라큘라의 사랑을 표현하기란 참 버거웠다. 나의 경우 드라큘라의 삶의 여정에 감정을 이입하고자 노력했다"고 말했다. 반면, 김준수는 "드라큘라는 본디 착하고 순수한 사람이다. 살육을 하면서 피를 먹고 살아가야 하지만, 인간을 헤칠 수 없어 동물의 피로 연명한다. 400년동안 사랑하는 여인을 기다리며 그렇게 삶을 살아왔다고 생각하면 참 불쌍하다. 무대에서 보여지지 않는 400년 동안 과연 어떤 일이 있었을까 생각하면서 연기한다"고 밝혔다.

배우들의 호연과 함께 압도적인 무대 예술은 보는 이의 눈을 즐겁게 한다.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조명과 환상적인 멜로디까지. 뮤지컬 '드라큘라'는 이번 공연에서도 거부할 수 없는 유혹으로 관객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23일부터 내달 9일까지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관객과 만난다.

드라큘라 박은석./오디컴퍼니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