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모바일 해외사업이 효자' 네이버·페이스북 IT 기업 해외매출액 급증





'모바일 해외사업이 효자' 네이버·페이스북 IT 기업 해외매출액 급증

내수 위주 알리바바는 성장세 둔화

네이버, 해외 매출 1조원 넘어서…사상 첫 매출 3조원 돌파

페이스북, 총 매출 전년 대비 44%↑…179억3000만 달러 기록

[메트로신문 송병형·정문경 기자] 국내외 IT 기업이 세계 경기 악화에도 모바일 중심의 해외사업을 펼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국내 1위 포털인 네이버는 지난해 매출이 사상 처음으로 3조원을 돌파했다. 이중 해외 매출은 1조원을 넘어 33%이상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날 동시에 실적을 발표한 페이스북도 해외 모바일 사용자의 급증으로 지난해 총 매출이 전년 대비 44%증가한 179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8일 네이버는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 8900억원, 영업이익 203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9.2%, 3.0% 증가한 성적이다. 이 기간 순이익은 1415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창사 후 처음으로 매출액 3조원 고지를 넘어섰다. 지난해 전체 매출액은 전년 대비 17.9% 증가한 3조2512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0.5% 늘어난 7622억원으로 집계됐다.

네이버는 특히 해외에서 실적 호조를 보이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해외 매출 1조원 시대를 열었다. 지난해 해외에서 1조836억원, 국내에서 2조167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 대비 각각 27.9%, 13.4% 늘어난 성적으로 해외 성장 속도가 국내를 앞질렀다.

해외 매출의 성장을 이끈 것은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인 라인이다. 해외에서 라인 광고가 성장세를 나타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4분기 라인주식회사의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0%, 전 분기 대비 1.0% 증가한 326억엔을 기록했다. 특히 해외 광고 매출은 라인의 활약에 힘입어 53.0% 증가했다.

페이스북도 해외 모바일 사용자와 광고에 힘입어 지난해 4분기 폭풍성장했다.

27일(현지시간) 페이스북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페이스북은 전년 동기 대비 51.7% 성장한 38억4000만 달러(약7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광고 매출이 56.8% 증가한 56억4000만 달러(약 6조800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4.1%나 증가한 15억6000만 달러(약 1조9000억원)를 기록했다.

4분기 실적에 힘입어 페이스북의 지난해 총 매출은 전년보다 44% 증가한 179억3000만 달러(약 21조6000억원), 연간 영업이익은 62억3000만 달러(약 7조5000억원), 순이익은 36억9000만 달러(약 4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이 같은 실적은 모바일 해외사업 성장에 따른 결과다. 페이스북의 모바일 사용자는 지난해말 월 21% 늘어난 14억4000만명, 하루 25% 늘어난 9억3400만 명에 달했다. 매출은 대부분 모바일에서 나왔다. 모바일을 주로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미국, 캐나다뿐 아니라 유럽, 아시아까지 전역으로 골고루 퍼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수 의존도가 높은 알리바바는 성장세 둔화가 전망되고 있다. 최근 톰슨 로이터 소속 28명의 애널리스트들에 의하면 지난해 4분기 알리바바의 예상 성장률은 26.6%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한 3년 반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알리바바가 중국 경제 침체의 가장 큰 피해자가 될지 모른다고 우려한다. 알리바바의 내수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최근 3개 분기 알리바바 실적의 83%가 내수에 의한 것이다.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도 이로 인해 해외로 판매망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단기간에 성과를 보기 어렵다는게 문제다. 홍콩 시장조사기관 애널리스트인 리무즈는 "알리바바가 수입원 확장을 추진 중이지만 시간이 걸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송병형·정문경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