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정부의 개성공단 전면중단에 따라 공단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KT도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KT는 개성공단 전면 조업 중단 조치와 관련해 정부 방침에 따라 통신 공급 중단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11일 KT 관계자는 "당국간 협의 결과에 따라 통신장비에 대한 철수 결정이 이뤄질 것"이라며 "근무 직원만 빠져나오는 건 지 장비까지 철수할 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KT는 국내 통신회사 중 유일하게 북한에 지사를 두고 있다. 개성지사는 공단 내 각 기업과 기관들을 연결하는 유선전화 1300개 회선을 운영하고 있다. 공단 입주기업과 관련기관 790여곳에 전화, 팩스 같은 유선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설 연휴 기간 개성에 체류하고 있던 KT 직원은 2명이다.
KT 관계자는 "철수는 준비 중에 있다. 정부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며 "설비까지 철수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면 북측과 협의를 거쳐 수송차량을 들여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업자 입장에서 직접 당국에 요청할 수 이는 상황이 아니라서, 당국과 협의내용 결과를 일단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KT는 지난 2005년 개성공단에 남북 직통전화를 개통했다. 과거에는 인공위성을 통해 일본을 거쳐야 통화가 가능했지만, 현재는 KT 개성지사에서 문산 전화국을 통해 직통으로 전화연결이 가능하다.
KT는 2005년 7월 남과 북을 잇는 광케이블을 구축하기도 했다. 2006년 6월부터는 개성공단 내에서 119(긴급서비스), 131(기상예보), 132(법률구조상담) 등 생활정보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KT가 이 같은 서비스를 구축하기 전에는 개성공단 입주 직원들이 직접 소방서나 병원을 방문해 긴급상황 발생을 알려야 했다.
또 KT는 2014년 3월 개성공단 입주 직원들의 출입을 위해 전자태그(RFID) 기술을 이용한 전자출입 전용회선망을 구축하기도 했다.
한편 지난 2013년 북한이 개성공단 잠정폐쇄를 결정했을 당시에는 북한이 개성공단의 입·출입을 제한하면서 장비를 가져올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이에 KT는 개성지사의 통신장비를 불능상태로 설정했다. 하지만 3개월 후 개성공단이 다시 정상가동하면서 장비들을 재가동시킨 사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