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풀'은 막 나가는 슈퍼히어로 영화다. 오프닝 시퀀스부터 그렇다. 배우들과 스태프 이름이 나와야 할 자리에 엉뚱한 자막이 등장해 관객을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심지어 감독은 '초짜'고 제작자는 '호구'라고 이야기한다. 시작부터 이 영화가 어디까지 막 나갈지 궁금해진다.
영화는 주인공 데드풀(라이언 레이놀즈)이 악당들과 싸우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는 한때 웨이드 윌슨이라는 이름으로 해결사 일을 하며 살았다. 그러나 암을 치료해준다는 비밀 실험에 참여했다 불사의 치유 능력을 얻는 대신 흉측한 얼굴을 갖게 됐다. 데드풀이 악당과 싸우는 이유는 단 하나다. 예전 자신의 얼굴을 되찾아 연인인 바네사(모레나 바카린)에게 돌아가기 위해서다.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답게 영화는 액션의 수위가 상당하다. 데드풀은 싸움에 있어 거침이 없다. 사지가 절단되고 피가 난무한다. 하지만 잔인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숨 막히는 액션 속에서도 수다를 멈추지 않는 데드풀을 보고 있노라면 시종일관 웃음이 나온다. '엑스맨' 시리즈에 나온 자비에르 스쿨이 등장하면서부터는 이 영화가 진짜 제대로 막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 슈퍼히어로 영화의 공식이나 관습은 모두 다 깨버리는 희대의 캐릭터의 탄생이다.
'데드풀'의 엉뚱함은 원작 코믹스의 분위기를 그대로 이어받은 결과다. 마블 코믹스에서 데드풀은 기존 슈퍼히어로와는 다른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는 영웅이기보다 악동에 가깝다. 개그와 유머, 그리고 잔인함은 데드풀의 트레이드마크다. 영화는 이런 원작의 매력을 그대로 가지고 와 스크린 위에 자유롭게 펼쳐 보인다. 그러면서도 슈퍼히어로의 탄생과 성장 과정을 그리는 것도 잊지 않는다. 기존 슈퍼히어로 영화에 싫증이 났다면 '데드풀'은 그 싫증을 충분히 달래줄 작품이다.
'데드풀'의 매력 중 하나는 바로 '제4의 벽(관객과 배우 사이의 가상의 벽)'을 무시하는 연출이다. 이는 원작이 갖고 있던 특징이기도 하다. 영화 내내 데드풀은 스크린을 향해 관객에게 끊임없이 말을 건넨다. 자신이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라는 사실, 그리고 지금 자신이 영화를 찍고 있다는 사실도 있는 그대로 언급한다. '엑스맨' 시리즈를 디스하는 것은 물론이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작품, 나아가 DC 코믹스의 캐릭터까지 언급한다. 엔딩 크레딧이 끝나고 등장하는 쿠키 영상은 이런 연출이 빛을 발하는 장면 중 하나다.
당신도 지금쯤이면 '데드풀'이 어떤 분위기의 영화인지 좀처럼 감이 잡히지 않을 것이다. 걱정하지 말자. 데드풀이 관객을 위해 직접 친절하게 영화를 소개해주니까 말이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이 영화는 "로맨스 영화"다. 그러니까 입도 거칠고 행동도 터프하지만 순애보만큼은 남다른 데드풀의 이야기를 그냥 즐기면 된다. 데드풀은 지금껏 만난 슈퍼히어로 중 가장 이기적이면서도 인간적인 캐릭터다. 슈퍼히어로 장르의 관습을 비튼 영화는 '킥애스' 시리즈와 '왓치맨' 등 이전에도 여러 편 있었다. 여기에 또 한 편의 영화가 추가됐다. 청소년 관람불가, 2월 17일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