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SKT 외국인 지분율 15년 만에 최저

작년 11월 CJ헬로비전 인수 발표 후 40%선 밑돌아



SK텔레콤의 외국인 지분율이 15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사업 구조 개편이 이뤄지면서 회사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고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SK텔레콤의 외국인 지분율은 지난해 11월 중순 40%선 밑으로 떨어졌다. 이후에도 하락세가 이어져 지난 11일 39.2%를 기록했다. 이는 2001년 1월 SK와 SK글로벌이 외국계 투자자문사인 시그넘Ⅸ에 SK텔레콤 지분 14.5%를 매각해 외국인 지분율이 34.5%에서 49.0%로 급등하고서 15년 만의 최저치다.

과거 SK텔레콤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1999년 7월 정부가 기간통신사업자에 대한 외국인 지분한도를 33%에서 49%로 상향 조정한 후 외국인이 매수에 나서 SK텔레콤 주가는 한때 500만원을 웃돌기도 했다.

외국인 투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간 금융위기 때도 충격을 덜 받았다. 시장 불안이 최고조에 달한 2008년 하반기~2009년 상반기 평균 45.5%의 외국인 지분율을 유지했다.

최근 증시가 다시 불안해진 것을 고려해도 외국인 지분율이 40%선 밑으로 떨어진 것은 이례적이다.

더구나 경쟁사인 KT는 지난 11일 외국인 지분한도인 49%를 가득 채웠다.

증권 업계는 이런 변화가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과 무관치 않다고 분석한다.

SK텔레콤의 외국인 지분율은 작년 하반기 초까지만 해도 45%에 육박했다. 그러나 이사회를 열어 CJ헬로비전 M&A를 전격 의결한 11월 초 이후 40% 선을 내주고 회복하지 못했다.

그 무렵 CJ헬로비전 주식을 5.1% 보유했던 미국계 펀드 콜럼비아 웨인저 에셋 매니지먼트는 SK텔레콤의 주식 공개매수에 응해 지분을 전부 매각, 투자에서 손을 떼기도 했다.

한 애널리스트는 "미디어 플랫폼 사업은 당장 수익성을 기대할 수 없다"며 "안 그래도 영업 환경이 나쁜데 CJ헬로비전 M&A 여파로 회사 매력이 더 떨어졌다"고 평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