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도별 1월 ICT 수입(억불)
<아래>
/미래창조과학부>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1월 수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17.8% 줄어든 118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또 수출이 지난해 10월 이후 넉 달 연속으로 감소했다.
넉 달 연속 감소를 기록한 것은 2012년 6월 이후 3년 7개월 만이다. ICT는 그동안 한국의 주력 수출 산업이었다는 점에서 수출 전반에 비상등이 켜졌다는 지적이다.
15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해 ICT 수출이 10월 -1.6%, 11월 -7.0%, 12월 -14.7%에 이어 지난달에는 -17.8%를 기록하며 갈수록 감소 폭이 커지는 추세다.
1월 ICT 부문 무역 수지가 전체 무역 수지의 95% 이상을 차지했다는 점에서 ICT 수출의 부진은 한국 무역 수지 흑자 기조에도 경고등이 켜졌다는 신호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품목별로 보면 휴대전화가 7.3% 감소한 19억 달러, 반도체는 13.9% 줄어든 45억3000만 달러, 디스플레이는 30.7% 감소한 20억1000만 달러,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10.1% 줄어든 5억9000만 달러 등 전반적으로 실적이 부진했다.
휴대전화의 경우 중국 화웨이 등 후발업체의 공세,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률 둔화,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의 확산 등이 수출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반도체는 D램 가격의 하락과 스마트폰 시장 등 세계적 수요 둔화, 디스플레이는 시장의 공급 과잉과 중국 업체의 공격적 생산 확대에 따른 단가 하락 등이 감소의 배경으로 꼽혔다.
지역별로도 중국(홍콩 포함)이 -17.3%(64억1000만 달러), 미국이 -2.8%(11억7000만 달러), 유럽연합이 -20.2%(7억5000만 달러), 중동이 -29.6%(2억8000만 달러) 등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부진했다. 아세안에서만 0.4% 증가한 18억5000만 달러의 실적을 거뒀다.
ICT 수입도 작년 같은 달보다 15.1% 감소한 67억9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디지털TV는 15.4% 증가한 4000만 달러였지만, 반도체(-16.5%·28억 달러), 디스플레이(-31.8%·3억7000만 달러), 휴대전화(-30.4%·6억3000만 달러), 컴퓨터 및 주변기기(-2.4%·9억 달러)는 모두 감소했다.
스마트폰의 경우 주로 새 아이폰에 대한 수요가 전작보다 적고 신형 제품 출시를 앞둔 대기수요 등으로 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