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커스 위드 카카오의 제품 제조 과정./카카오
카카오 제조서비스 선보인다, '메이크 위드 카카오'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 카카오는 16일 수요가 발생한 만큼 제품을 생산·유통하는 모바일 주문생산플랫폼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MAKERS with kakao)'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는 김범수 의장이 2014년 11월 발표했던 소셜임팩트 사업의 첫 번째 모델이다. 아이디어를 통해 시스템 변화와 재무적 성과 달성을 추구하기 위해 조직된 카카오 소셜임팩트팀에서 주도한다.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는 카카오가 가진 모바일 경쟁력을 이용해 소비자와 생산자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서비스다. 4800만 명의 카카오톡 이용자 기반으로 제조회사가 먼저 샘플을 보여주고 이용자들의 주문을 받아 생산하게 된다. 이윤을 만들 수 있는 최소생산수량(MOQ) 이상의 주문 건에 대해서만 생산에 들어감으로써 평균 약 20% 수준에 이르는 재고물량을 없앤다. 소비자는 재고비용이 제거된 가격으로 가치있는 상품들을 구매할 수 있다.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 운영 초기에는 판매 상품이 일주일 단위로 변경된다.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 모바일 웹에 새로운 상품이 공개되고 일주일 동안만 주문을 받는다. 가방과 의류 등 패브릭 제품, 머그컵, 아트토이 피규어,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로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에서 자체 개발한 망토 류까지 다양한 상품군을 선보일 예정이다.
모두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에서만 구매 가능한 단독 판매 상품이다. 현재까지 12개의 브랜드와 10명의 아티스트, 7곳의 제조 업체가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와 손을 잡았다. 출시 첫 주에는 아트놈, 최윤라 작가와 콜라보레이션 한 맨투맨 셔츠 등 10여 종의 상품이 공개됐다.
결제는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카카오페이 휴대폰 간편결제를 비롯, 신용카드나 휴대폰 간편결제로 가능하다.
카카오의 전석원 소셜임팩트팀의 TF장은 "제조업 종사자들을 만나보면 좋은 아이디어 상품을 만들고도 재고 문제로 사업을 존속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의 선주문 시스템에 거는 기대가 높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 창신동, 보문동, 용두동 등지의 제조 공장에서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 상품 생산을 준비하고 있으며 판매 제품이 다양화 됨에 따라 생산 공장의 협력 범위도 확대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