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맘때쯤 인터뷰에서 강하늘(25)은 자신의 꿈을 "'배우 강하늘'이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1년이 지나 다시 만난 강하늘은 "꿈이 조금은 바뀌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멋진 배우' '연기 잘하는 배우'보다는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면서 환하게 웃었다. 그 웃음 뒤에는 스스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청춘의 모습이 있었다.
강하늘이 새해의 시작과 함께 두 편의 영화로 스크린을 찾았다. 윤동주 시인의 삶을 그린 영화 '동주'(감독 이준익), 그리고 옴니버스 형식의 로맨스 영화 '좋아해줘'(감독 박현진)다. 공교롭게도 두 영화 모두 지난 17일 동시에 개봉했다. 강하늘은 "처음에는 당황스러웠지만 긍정적인 마인드인 만큼 두 작품의 개봉 모두 즐기려고 한다"며 수줍게 웃었다.
강하늘이 먼저 촬영한 작품은 '동주'다. 배우로서는 쉽지 않은 도전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시대를 고민하고 자아를 성찰하며 시를 쓰다 29세 나이에 요절한 시인 윤동주의 삶을 연기로 표현해야 했다. 배우라면 누구나 부담과 책임을 느낄 역할이다.
"처음에는 덥석 하겠다고 했어요. 윤동주 시인님을 연기한다는 이야기에 감격스러운 나머지 기쁘고 흥분됐으니까요. 그런데 작품을 선택한 뒤 기쁨과 흥분이 걱정과 부담으로 바뀌더라고요. 촬영하면서도 '도망가고 싶다'는 기분이 들 정도였죠. 카메라 앞에서 윤동주 시인을 연기하는데 감독님의 오케이 사인이 나면 그 연기가 평생 지울 수 없는 영상으로 남는 거잖아요. 그래서 부담이 컸어요."
강하늘은 "부담을 이겨내지는 않았다. 무엇을 해도 부담이 사라지지 않아 그냥 안고 갔다"고 말했다. 대신 강하늘은 윤동주 시인을 통해 보여주고 싶은 모습을 깊이 생각하며 촬영에 임했다. "윤동주 시인을 어떤 색깔을 가진 인물로 보여주고 싶지 않았어요. 저항시인, 혹은 패배주의 감성을 지닌 사람이라는 세간의 평가에서 벗어나 한 사람으로서 윤동주 시인을 보여주고 싶었거든요." 그래서 그는 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인 송몽규(박정민)가 더 도드라보인다는 말을 칭찬으로 받아들였다. "'동주'는 윤동주와 송몽규라는 두 청춘의 이야기"라는 이유에서다.
부담 속에서 얻은 것도 있다. 흥행 걱정에서 벗어나 영화 촬영을 즐기며 행복을 느낄 수 있었다. '동주'에 이어 '좋아해줘'를 선택한 것은 그런 이유에서였다. '동주'에서 촬영현장의 즐거움을 느낀 만큼 '좋아해줘'에서도 최대한 현장을 즐기고자 했다.
'좋아해줘'에서 강하늘은 청각 장애를 지닌 작곡가 수호 역으로 출연해 드라마 PD 나연 역의 이솜과 로맨스 연기를 펼쳤다. 극중에서 풋풋하고 설레는 20대의 사랑을 보여주는 커플이다. 청각 장애를 지닌 인물을 표현하기 위해 다큐멘터리 등 여러 자료를 참고했다. 그러나 로맨스 영화인만큼 강하늘이 신경을 쓴 것은 이솜과의 커플 호흡이었다.
"제 파트너지만 많이 기대서 촬영했어요. 솜이의 러블리함을 믿었거든요(웃음). 사실 여자 배우와 친해진 적이 별로 없는데 이번 영화에서는 솜이와 많이 친해졌어요. 이런저런 영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친구죠."
강하늘은 언제나 웃음이 많다. 하지만 그의 웃음은 실없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그래서일까. 가끔은 혼자 있을 때의 강하늘의 모습이 궁금해진다. 스스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모습이 있지 않을까 싶었다.
"윤동주 시인님은 자아성찰적이고 자기반성적인 시를 굉장히 많이 쓰셨잖아요. 그건 그만큼 자기를 사랑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그것이 윤동주 시인님과 제가 닮은 점을 찾다 발견한 접점이었어요. 저 역시도 제 자신을 제3자의 입장으로 바라보면서 스스로를 돌아보고는 하거든요." 그럼에도 강하늘이 늘 웃음을 잃지 않는 것은 자신의 고민을 굳이 보여줄 필요가 없음을 잘 알기 때문이다. "처음 연기를 배울 때 연기를 얼마나 준비했는지는 보여줄 필요가 없다는 걸 배웠어요. 연기에 대한 준비는 연기 자체로 드러나는 거니까요. 그 배움이 제 삶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어요. 저의 고민 역시 굳이 보여주지 않아도 제 삶을 통해 드러날 테니까요."
지금 강하늘이 꿈꾸는 '좋은 사람'은 실없이 웃기만 하는 사람은 아니다. "자신만의 올곧음을 갖고 있으면서도 다른 이를 배려할 줄 아는" 사람이다. "나중에 누군가가 저를 추억했을 때 '좋은 연기자'라는 말보다 '좋은 사람'이라는 말을 듣고 싶어요. 좋은 연기자는 영화를 보는 2시간은 빛낼 수 있어요. 하지만 좋은 사람은 24시간을 빛내거든요. 그러니 좋은 사람이 돼야 좋은 연기자도 될 수 있는 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