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현지시간) 오후 MWC 2016 KT 전시관에서 황창규(왼쪽) KT 회장이 라미 아슬란 투르크텔레콤그룹 CEO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악수를 하고 있다. /KT
황창규 KT 회장 "2020년 글로벌 매출 2조 달성…미래융합 ICT 등 핵심사업 가속"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 황창규 KT 회장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6이 열리고 있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글로벌 1등'을 위한 비전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아울러 KT가 개발한 '기가 LTE', '기가 와이어' 등의 해외 수출성과를 공개하고, 방글라데시 모헤시칼리 섬에 글로벌 기가 아일랜드를 구축한다고 설명했다.
23일(현지시간)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황 회장은 "글로벌 사업의 성과 창출을 위해 통신망 구축, 운영, 컨설팅 등 기존 통신 분야 사업기반은 한층 공고히 하고, 미래 먹거리 개발을 위한 3대 전략방향을 '미래융합 ICT 등 핵심사업 성장 가속화', '기가 솔루션의 글로벌 시장 확산', 그리고 '해외 투자사업의 본격화'로 설정해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KT의 글로벌 사업은 시너지를 위해 그룹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 KT그룹은 글로벌에서 지난해 약 7500억원의 매출 성과를 거뒀는데 3대 전략방향을 토대로 2020년까지 매출 2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황 회장은 "지난해 MWC 기조연설에서 5G가 만들어낼 미래를 제시했는데 이에 공감한 전 세계 ICT 리더들로부터 5G와 관련된 협력을 약속 받았다"며 "글로벌 협력을 바탕으로 올해는 5G가 보다 구체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T는 하루 앞선 22일 오후 MWC 2016 현장에서 터키의 투르크텔레콤그룹과 기가 LTE 수출을 포함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또 다른 세계 최초 기술인 '기가 와이어'도 해외로 공급된다. 이번 MWC 기간에 KT는 스페인 카탈루냐 지역정부와 기가 와이어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기가 와이어는 바르셀로나의 임대 아파트에 우선 제공될 예정이다. 또한 카탈루냐에서도 낙후된 지역의 정보격차 해소에도 활용된다. KT의 기가 와이어는 광케이블이 아닌 구리선에서 기가급 속도(최대 600Mbps)를 실현하는 기술이다.
KT는 5G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에도 힘쓴다.
황 회장은 "KT와 글로벌 업체들은 확정된 '평창 5G 핵심규격'에 맞춰 현재 시스템과 칩 개발을 진행 중"이라며 "KT는 글로벌 협력을 마련한 평창 5G 핵심규격이 5G 핵심기술을 적용한 만큼 국제표준에 반영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국내외 통신사와 협력을 강화한다. KT는 버라이즌, NTT도코모 등과 함께 시험규격 글로벌 연합체인 5G-TSA(Trial Specification Alliance)를 결성했다. 또한 한·중·일 3국의 대표 통신사인 KT, 차이나모바일, NTT도코모의 3자 협의체인 SCFA는 '5G 워킹그룹'을 결성할 예정이다.
KT는 이번 MWC에서 방글라데시 모헤시칼리섬에 글로벌 '기가 아일랜드' 구축 MOU를 체결했다. 기가 아일랜드는 초고속 네트워크와 지역 맞춤형 ICT 솔루션을 통해 교육, 문화, 의료, 경제 등 도서·산간 오지 주민들이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KT의 공유가치창출(CSV) 프로젝트다.
황 회장은 터키, 스페인등의 해외 협력 확대와 기가 아일랜드 구축 등으로 글로벌 기가토피아 실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황 회장은 "세계인들이 대한민국처럼 쾌적하게 ICT 서비스를 이용할수록 글로벌 기가토피아 실현에 대한 공감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글로벌 기가토피아는 KT의 비전인 '글로벌 1등'을 달성하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