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 1200兆 돌파…국내은행 부실채권 규모도 폭증
리스크 대비 충당금 늘리면 수익성 악화…고민 '겹겹'
시중은행들의 리스크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해 말 현재 가계부채가 1200조원을 돌파한데 이어 올 들어 기업 부실채권 규모도 폭증해 은행 재정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은행들이 기업부실 위험에 대비해 충당금을 늘리면서 수익성 악화 등 은행 부담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표한 '2015년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은행권 부실채권 비율(총여신 대비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1.71%로 전년(1.55%)보다 0.16%포인트 상승해 5년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실채권 규모는 28조5000억원으로 전년 말(24조2000억원)보다 4조3000억원이 늘었다.
부실채권은 은행의 대출금 가운데 3년 이상 연체돼 회수가 불확실한 돈을 일컫는다.
전체 부실채권 가운데 기업여신 부실이 26조4000억원으로 전체 부실채권의 대부분(92.6%)을 차지했고 가계여신(1조9000억원), 신용카드채권(1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3.45%로 전년(2.28%) 대비 1.17%포인트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조선업(12.92%), 건설업(4.35%) 등 취약 업종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수면위로 떠오른 기업부채 문제
기업부채는 지난해 사상 최대치로 늘어난 가계부채 문제에 가려져 있었다.
지난달 24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2015년 4분기 중 가계신용 잔액(잠정)'을 보면 가계 빚 총액은 1206조979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기업대출 연체율은 0.92%로 전달보다 0.14%포인트 상승했고, 지난해 1월에 비해서는 0.06%포인트 상승했다.
은행들은 기업대출 부실 정도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쌓는다. 대출 기업이 부실해질 경우 대출금을 떼일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해 미리 적립금을 쌓아두는 것이다.
7일 금감원에 따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7년 동안 은행권이 쌓은 충당금 규모는 83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의 충당금과 대손준비금을 포함한 대손비용은 2009년 13조1000억원에서 2010년 15조원, 2011년 12조2000억원, 2012년 10조9000억원, 2013년 11조5000억원, 2014년 9조2000억 원, 지난해 11조7000억원으로 모두 83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처럼 은행들의 충당금 규모가 증가할수록 수익성은 악화하게 된다.
◆부실채권 늘어 은행 충당금↑
실제 은행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이익률(ROA·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당기순이익 비중)과 자기자본이익률(ROE·자기자본으로 낸 이익 비중)은 지난해 각각 0.16%, 2.14%로 2000년 이후 가장 낮아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업 부실에 대비해 이미 충당금을 넉넉히 쌓아뒀다"면서도 "정부가 지난해부터 한계기업 정리 작업을 본격화하면서 충당금을 더 쌓으라고 압박하고 있어 올해 추가 적립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기업부실이 은행 실적 악화의 가장 큰 요인"이라며 "대내외 불확실성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충당금 적립 등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