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인터뷰] 정진영 "'화려한 유혹' 강석현을 만난 건 운명"
알츠하이머 연기 고충
최강희와 멜로 연기 오히려 수월
'할배파탈' 별명 감사
'옴므파탈'을 능가하는 수식어 '할배파탈'을 얻음과 동시에 최고의 연기를 보여준 배우 정진영(51)을 강남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촬영 때의 기억을 떠올리려 눈을 감고 회상하는 모습은 기자의 마음까지 설레게 만들 정도로 멋졌다.
"마지막 분량을 찍고 태국으로 여행을 다녀왔어요. 드라마 속 캐릭터를 훌훌 털어내기 위해 다녀왔는데 이렇게 인터뷰를 하면서 회상하니까 다시 드라마 내용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웃음)"
정진영은 MBC월화드라마 '화려한 유혹'에서 20세 이상 나이차가 나는 신은수(최강희)를 지독하게 짝사랑하는 강석현을 연기했다.
"처음 출연 제안을 받고 원래는 안하려고 했어요. 권력을 위해 악행을 일삼는 모노타입의 인물이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감독님이 미팅자리에 작가님과 함께 오셨더라고요. 반칙이죠.(웃음) 드라마 내용을 좀 더 들어보니까 강석현이라는 인물이 도전할만한 캐릭터더라고요. 착한 캐릭터는 아니지만, 그의 악행 이면에는 아픔도 있고, 반전이 있더라고요. 이 작품을 안했으면 서울할 뻔 했어요. 배우가 어떤 작품을 하고 안하고는 운명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아마 저는 강석현을 만날 운명이었던 것 같아요."
극중 강석현은 알츠하이머를 앓는다. 증상이 심해지면서 그는 과거를 회상하고 반성하게 된다. 강석현에게 알츠하이머와 신은수는 구원의 의미였다. 정진영은 "강석현이라는 냉혹한 인간이 인생 말년에 시한부 판정을 받은 뒤 한 여인을 만나 비이성적인 상태가 됐기 때문에 과거의 잘못을 반성할 수 있었고, 부끄러움도 알았던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영은 최강희와의 멜로 연기보다 알츠하이머 연기가 훨씨 어려웠다고 주저없이 이야기했다.
"알츠하이머는 일단 경험한 바가 없기 때문에 연기하는 데 애를 먹었죠. 단순히 이성만 잃는 게 아니라 그 상태에서 눈물도 흘리고 감정을 털어내야했기에 쉽지 않았어요. 그리고 알츠하이머로 인해 드라마 내용이 전개되거든요. 기억을 잃은 상태에서도 강석현이 갖고 있는 고유한 모습은 잃지 않으려고 하는 그 밸런스를 맞추기가 상당히 힘들었어요."
NG 없이 촬영해온 베테랑 연기자 정진영도 알츠하이머 신에서는 세번이나 재촬영했다. 그가 표현하는 감정이 맞는 것인지 확신이 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사 중에 '둥둥 떠다닌다. 세상이 돈다'라는 대사가 있어요. 그말을 곱씹으면서 저 자신한테 나룻배 위에 누워있다고 최면을 걸었어요. 그렇게 상상하고 연기하고 나서야 알츠하이머를 앓는 강석현을 표현할 수 있었어요."
'화려한 유혹'은 강석현의 비자금 문서 때문에 시작되는 복수극이다. 신은수는 자신의 남편을 죽음으로 몰고간 인물이 강석현이라고 생각하고 의도적으로 접근한다. 그런 신은수에게 강석현은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남편을 죽였다고 오해하는 그 여자와 결혼하는 것에 대해 시청자가 거부감이 드는 것은 당연할 수 있죠. 저도 초반에는 의심했으니까요. 하지만 그 점을 설득하는 것이 제게 주어진 가장 큰 과제였고, 대본에 나와있는 그대로 연기를 펼쳤죠. 그러다보니 어느새 강희 씨가 은수로 보이고, 대본 상황에 맞게 사랑의 감정이 전해지더라고요. 때로는 그녀때문에 슬퍼서 울고, 때로는 눈에서 하트가 나오고, 또 어느 순간 분노하기도 했고요. 솔직하게 전해지는 감정을 연기한 거라 어렵지는 않았어요."
시청자는 그에게 '할배파탈'이라는 멋진 별명을 붙여줬다. 정진영은 '껄껄' 웃더니 시청자에게 감사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머리가 점점 희끗희끗해져가는데 더 많이 희어졌으면 좋겠어요. 나이 든 배우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있어요. 배역의 비중이 어떻든 그걸 할 수 있다는 게 얼마나 행복한 일일까요. 배우로 나이들었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는 요즘이죠."
정진영은 영화 '시간이탈자'와 '파수꾼들' 개봉을 앞두고 있다. 드라마와 영화를 오가며 꾸준히 활동하는 이유는 그에게 있어서 일종의 '매너리즘'을 극복하는 방법이다. 각각의 다른 속도감이 긴장감을 늦추지 않게 한다고.
"일은 쉽게 하면 안된다고 생각하는 게 저의 원칙이에요. 힘든 걸 일부러 찾으려 하고, 쉬운 작업은 더 어렵게 만들려고 하죠. 배우는 프로예요. 전문성을 바탕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은 남들과는 다른 과정을 걸어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뻔한 길을 그대로 가면, 아마추어와 차이점이 없지 않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