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tvN, 성장세 막강! 예능 PD가 드라마, 틀 깬 제작시스템

스타 PD·작가 대거 포진…틀을 깬 제작환경이 성장동력

개국 10주년을 맞은 tvN이 과감한 시도와 제작진을 향한 적극적인 투자 지원으로 막강한 성장세를 타고 있다.

2007년 개국 초기 'B급감성' '악마의 편집' 논란으로 골머리를 앓던 tvN은 이제 막강한 파급력과 고유의 색깔을 지닌 채널로 성장했다. 가장 큰 이유로는 제작의 용이성을 들 수 있다. 중간 광고가 붙는 CJ E&M 특성상 프로그램당 발생하는 광고 수익이 상당한 것. 따라서 PD는 수익 걱정을 덜 수 있고 연출에만 집중,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내놓은 '2014년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 상황 공표'에 따르면 CJ E&M 산하 케이블TV사업자의 2014년 연간 광고매출이 10년 전인 2005년보다 3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650억 원에 머물던 광고매출이 2014년 2868억 원까지 늘어난 것. 지난해 매출액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CJ E&M 채널 중 단연 1등 공신은 tvN이라 할 수 있다. tvN은 '응답하라1988', '치즈인더트랩'에 이어 최근 방송하고 있는 '시그널'까지 자체제작 드라마를 연이어 흥행시킨 바 있다. 덕분에 tvN의 인기 프로그램 중간광고 단가는 이미 지상파를 넘어선지 오래다. 최근 종영한 '응답하라1988'의 경우 광고수익으로만 200억 원을 넘겼을 것으로 업계는 추정한다.

예능국 PD가 드라마를 제작하는 등 틀에 박히지 않은 제작환경도 tvN의 강점이다.

대표적인 예로 '응답하라' 시리즈를 연출한 신원호 PD는 KBS 예능국 출신이다. 2012년 '응답하라 1997' 제작 당시 업계에서는 예능국 PD가 어떻게 드라마판에 뛰어들 수 있는 지, 과연 성공할 수 있을 지 의구심을 품었지만,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90년대 사회상을 반영함과 동시에 향수를 불러모으면서 드라마가 큰 화제가 된 것. 이후 '응답하라 1994', '응답하라 1988'까지 성공시키며 '응답하라' 신드롬을 형성했다. 특히 이번 해에 종영한 '응답하라 1988'은 역대 케이블 드라마 최고 시청률을 기록, 최대 광고수익을 거둬들이며 성공신화를 써내려갔다.

시즌제 드라마를 도입하는 과감한 시도 역시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다.

시즌제 드라마는 주연배우들이 재출연하고 연속성있게 드라마를 이어가는 것이다. '막돼먹은 영애씨'가 대표적이다. 2007년 첫 방송을 시작해서 2015년까지 무려 14개 시즌이 방송됐다. 지난해 8월부터 10월까지 총 17부작으로 방송된 '막돼먹은 영애씨14'는 12회에서 3.48%(닐슨코리아 기준)를 기록했다. '치즈인더트랩'이 방송되기 전까지 월화드라마 중 최고 성적이다. 이밖에도 '식샤를 합시다' '로맨스가 필요해'가 있다.

지상파에 비해 비교적 시청률과 소재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시즌제 드라마를 꾸준히 시도하며 차근차근 노하우와 시청률을 쌓아올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가능했던 이유는 적극적인 투자와 지상파 PD 영입에 있었다. 2007년 개국 초기 tvN은 지상파 PD를 적극적으로 영입했다. 신원호 PD를 비롯해 '미생' '시그널'을 연출한 김원석 PD, '삼시세끼' '꽃보다' 시리즈의 나영석 PD 모두 KBS 출신이다.

KBS '1박2일'의 전성기를 이끈 나영석PD는 현재 tvN에서 저력을 과시하고 있다. 2013년 '꽃보다 할배'를 시작으로 '꽃보다 누나' '꽃보다 청춘' 등 시리즈를 제작했다. 매 시즌 바뀌는 여행지와 출연진은 시청자에게 신선한 재미를 안긴다. 또 산골마을이나 어촌에서 오로지 한끼식사에만 집중해 만들어 먹는 프로그램 '삼시세끼'는 자극적인 연출없이 지극히 소박한 일상을 조명함에도 그 안에서 나오는 재미를 놓치지 않고 담아낸다.

연출이 좋다고 입소문이 나다보니 스타 작가도 자연스럽게 tvN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규제가 까다로운 지상파에 비해 표현이 자유롭다는 장점도 한몫 거들었다. KBS2 '태양의 후예' 극본을 집필한 김은숙 작가는 현재 tvN에서 차기작을 논의하고 있다. 노희경 작가, 진수완 작가, 박지은 작가 등 대다수 작가들도 이름을 올렸다. 특히 김은희 작가는 앞서 '시그널'로 안방극장을 점령한 바 있다.

오는 5월에는 노희경 작가의 신작 '디어마이프렌즈'가 시청자를 찾아간다. 배우 김혜자, 나문희, 주현, 박원숙, 고두심 등 중장년 배우를 대거 기용해 60대의 이야기를 그린다. 이는 젊은층 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가 즐길 수 있는 채널로 성장하겠다는 tvN의 의지를 보여준다.

tvN 이명한 본부장은 "10년 동안 tvN은 참신한 기획력으로 시청자들에게 그 어디서도 느낄 수 없는 즐거움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개국 10주년을 맞이한 올해는 더욱 적극적인 투자와 치열한 노력을 통해 tvN이 글로벌 넘버원 콘텐트 크리에이터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10주년을 맞아 개국한 OtvN도 '어른들의 라이프 채널'로 입지를 굳히고 있다. 신개념 북토크쇼 '비밀독서단', 생활밀착형 토크쇼 '어쩌다 어른', 전국방방곡곡 시골 마을을 찾아가는 착한 예능 '예림이네 만물트럭' 등을 편성해 재미와 시사·교양을 동시에 제공한다.

꽃보다 청춘 아프리카공식 포스터./CJE&M



신원호 PD./CJ E&M



OtvN비밀독서단 개편된 출연진./CJE&M



OtvN로고./CJE&M



개국 현장./CJE&M



꽃보다청춘 ./CJE&M



나영석 PD,/CJE&M



김원석 감독./CJE&M



tvN 이명한 본부장./CJE&M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