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공간에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종로구 행촌 성곽마을·독산1동 공공건축물 시범 대상지
서울시가 시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게 '유니버설디자인'을 공공 공간에 본격 적용한다고 30일 밝혔다.
유니버설디자인은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상황을 존중해 누구나 이용하기 쉽고 편리한 환경을 만드는 디자인으로 일상 소도구부터 도시환경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개념이다.
서울시는 시민이 많이 이용하는 공공공간 가운데 시민이용 불편으로 개선이 시급한 두 곳을 올해 '공공공간 유니버설디자인 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4월 용역업체 선정을 거쳐 연애 완료를 목표로 추진한다.
시범사업지 두 곳은 종로구 행촌 성곽마을 인근 공공가로, 금천구 독산1동 공공건축물이다.
종로구 행촌 성관마을 인근 공공가로는 오르막인데다 차량과 사람이 구분없이 다니는 길이라는 점에서 전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보행자의 편의와 안전을 강조하는 쪽으로 설정했다.
오르막길 중간에 어르신이 쉴 수 있는 벤치를 만들고 차량과 사람이 함께 다니는 폭 8~10m의 보차혼용도로에 어린이 보호구역을 표시할 예정이다.
금천구 독산1동 공공건축물은 현재 치안센터와 주민센터 분소가 위치해있다.
시는 노후화를 개선함과 동시에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일 방침이다. 우선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들을 위해 건물 1층 뒤편에 완만한 경사로를 조성한다. 특별한 용도 없이 방치된 1층의 약 70% 유휴공간은 주민모임과 교육이 가능한 다목적 공간으로 리모델링한다.
이밖에도 건물 내부에는 붙잡고 걸을 수 있는 핸드레일을 만들고, 이용자 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가구를 제작·설치하는 등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해 주민들이 즐겨찾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만든다.
서울시는 디자인 개발과 관련해 선정된 용역업체가 시민의 의견을 효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장애인, 외국인, 어린이, 어르신 등으로 구성된 '유니버설디자인 시민체험단(가칭)'을 구성, 5월부터 활동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들은 직접 현장에 나가 보행단절구간 여부, 보행약자 이용가능 여부 등을 진단한다.
사업에 소요되는 예산은 2억6000만원이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홈페이지 내 '입찰공고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변태순 서울시 디자인정책과장은 "시민 모두를 만족시키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가치와 우수성을 몸소 느낄 수 있도록 최적화된 공공공간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