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취업 시장에서 5060세대가 2030세대를 누르는 이변이 생겼다. 5060이 취업률로 2030을 추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의 취업이 늘면서 한국 근로자들의 평균 나이도 44.4세까지 높아졌다.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가 노후 준비를 위해 정년 이후에도 노동시장을 떠나지 않으면서 5060의 취업이 활발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기업들이 신규채용을 하지 않으면서 2030의 취업률이 저하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3월 31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20~30대 취업자 수는 936만9000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36.1%를 차지했다.
반면, 50대 이상 취업자 수는 965만5000명(37.2%)으로, 20∼30대 취업자보다 28만6000명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50대 이상 취업자가 수가 20∼30대를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처음이다.
2000년만 해도 20∼30대 취업자(1063만명)는 전체 취업자의 50.2%를 차지했다. 당시 50대 이상 취업자 수는 486만명에 불과했다. 이후 11년간 2030취업자는 50대 이상보다 100만명 이상 많았다. 그러나 그 격차는 2012년 91만명을 시작으로 2013년 41만명, 2014년 5000명으로 급격히 줄다가 지난해 상황이 역전됐다.
통계청은 50대 이상 취업자 비중이 급격히 높아진 것은 고용이 청년층보다는 장년과 고령층 위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는 33만7000명 늘었는데,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이 17만2000명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취업자도 14만9000명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20대 취업자는 6만8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30대 취업자는 오히려 3만8000명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은 일손을 놓지 못한 베이비붐 세대와 일거리를 찾지 못한 청년 세대의 현실이 맞물린 결과다.
인구집단이 가장 큰 베이비붐 세대는 노후 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해 정년퇴직을 하고도 다시 자영업자가 되거나 경비원 등 임시·일용 근로자로 재취업해 노동시장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 청년층 고용은 상대적으로 부진하다. 경기 전망이 불확실해지자 기업들이 신규 채용 규모를 줄이고 경력직 위주의 채용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평균 연령도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