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김나인 기자]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이 지지부진한 형국으로 흐르고 있는 가운데 한국방송협회가 이번 M&A에 대해 반기를 들어 이목이 쏠리고 있다.
협회는 지난 1일 이번 M&A를 반대한다는 2차 의견서를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했다고 4일 밝혔다.
협회는 의견서에서 "합병 법인은 CJ E&M 경쟁 채널 송출을 배제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M&A 후 시장점유율 상승에 따라 불리한 채널번호 부여 등으로 경쟁 채널과 콘텐츠 사업자는 현재보다 최대 81.8%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논리도 뒤따랐다.
협회는 이와 함께 약탈적 결합판매가 연쇄적으로 일어날 것을 우려하면서 이종 사업 간 시너지 창출 가능성은 없다고 못 박았다. 지역케이블에 허용된 지역 보도채널을 운영할 수 있게 돼 방송 공정성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것이란 지적도 이어졌다.
중소 프로그램공급자(PP)의 몰락에 비해 CJ E&M과 같은 대규모 PP만 살아남는 방송 생태계의 황폐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주장도 이어졌다.
하지만 이를 두고 일각에선 CJ E&M의 경쟁 채널은 종편과 지상파 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MPP)로 지정돼 있고, 채널 묶음 상품과 채널 번호는 신고가 아닌 미래부 승인 사항이기 때문에 임의 배제나 불이익은 제도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
또 번호 편성은 최근 장르별 블록 편성이 대세여서 임의적인 불이익은 고객 혼란을 가중시켜 결국 플랫폼사업자에게 불리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관련 업계의 최대 81.8%의 손실도 정확한 산정 근거가 없어 사실로 간주할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
CJ헬로비전 피인수 합병은 예민한 부분이라 익명을 요구한다는 업계의 한 관계자는 "CJ헬로비전 M&A는 방송-통신 융합의 신호탄으로 중요하지만, 주파수와 5G, 플랫폼 등 세계시장과 경쟁해야 하는 현안도 있다"며 "소모적 논쟁이 아닌 새로운 미래 시장을 위해 경쟁이 필요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