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정책과 이슈는 간 데 없고 동정표를 호소하는 절절한 읍소만 난무했다.
여야 3당이 공식 선거운동기간인 13일 간 유권자들에게 보여준 모습이다. 이 때문에 북핵 위기로 촉발된 안보위기는 물론, 글로벌 경제와 맞물려 우리 경제가 적신호로 뒤덮인 위기 상황에서 유권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선거를 치러야했다.
19대 국회는 당파 간 정략적 이해관계에 매몰돼 제대로 된 국가미래를 설계하지 못했다. 심지어 계류된 법안 처리를 위해 지난달 11일 3월 임시국회가 소집됐지만 선거운동이 본격화되면서 뒷전으로 밀렸다. 결국 3월 임시국회는 아무런 성과가 없는 가운데 이달 10일 조용히 막을 내렸다. 총선에 출마하는 의원은 선거운동에, 공천에서 탈락한 의원은 의욕 부진을 겪는 등 제각기 이유로 국회는 사실상 정지됐다.
문제는 선거는 13일 끝나지만 삶은 계속된다는 점이다. 19대 국회 임기는 5월 29일 종료되고 20대 국회는 하루 뒤인 30일부터 시작된다. 사람은 바뀌지만 계류된 법안은 그대로 국회 문턱에 발목이 잡혀있고 국민들의 삶은 계속 어려운 상태라는 얘기다. 지금 유권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시름에 빠진 우리 경제를 살릴 적임자다. 그러기 위해서 유권자들에겐 '선택할 권리'가 필요하다. 어떤 정책을 펼칠 것인지, 어떤 마음가짐으로 앞으로 4년을 보낼 것인지 후보들 각각의 계획과 다짐, 각오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권리 말이다.
하지만 여야 3당은 선거전 내내 서로에게 유리한 판을 짜기 위한 정치적 공학적 셈법에만 집중했다. 막판에는 네거티브까지 불사하다가 "미워도 다시 한 번"을 외치며 읍소 전략을 펼쳤다. 지지층을 자극하는 경쟁에만 매몰된 셈이다. 이 같은 선거전에 유권자들은 선택할 권리를 침해받았다.
믿음은 때때로 나를 배신하고 민주주의는 종종 엉뚱한 선택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각자 자기 몫의 정의를 실천하는 투표행위는 국민의 의무이자 권리다. 이번 총선 역시 각 정당은 성숙된 모습 보여주기에 실패했다. 하지만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더 나은 대한민국의 미래는 성숙한 유권자들 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