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초동 넥슨 아레나에서 열린 '구글플레이 인디 게임 페스티벌' 경진대회에서 Top 3 개발사와 심사위원이 기념 촬영에 임하고 있다. (왼쪽부터)밥 미스 구글플레이 글로벌 게임 총괄, 박종국 오키도키게임즈 대표, 나날이 박재환 대표, 플레이하드 정기호 대표. /구글
[메트로신문 오세성 기자] 구글이 지난 23일 서초동 넥슨 아레나에서 '구글플레이 인디 게임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한국 인디게임 톱7 개발사를 선정했다.
구글플레이 인디 게임 페스티벌은 국내 중소 게임 개발사들이 잠재력을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시작된 이 프로그램에 국내 인디 개발사 250곳이 참여했고 구글에서도 구글플레이 밥 미스 글로벌 게임 사업 총괄과 자밀 몰레디나 게임 파트너 매니저가 참석했다.
구글이 사전 심사로 선정한 30개 사가 행사에 참가해 행사장을 방문한 300여명의 게임 유저들에게 자사의 게임을 선보였다. 유저들은 개발사의 설명을 들으며 게임을 직접 체험했고 가장 마음에 드는 게임에 투표했다.
평소에 인디 게임을 좋아했다는 참가자 이상철씨는 "인디 게임은 참신하지만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인식을 가진 사람이 많다"며 "이곳 참가작들은 신선하면서도 작품성 높은 게임이 많아 인디 게임에 대한 선입견을 깨기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유저들의 투표로 최종 경진대회에 참가하는 15개 개발사가 선별됐다. 15개 개발사는 10분의 시간 동안 구글 심사위원과 유저들 앞에서 발표와 질의응답으로 게임을 소개했다.
최종 경진대회에 참가하지 못한 한 개발사는 "여러 개발사가 종전과 달리 새로운 게임들을 출품했다"며 "게임 퀄리티도 매우 높아 많은 자극이 됐다. 우리 게임을 더 보완해야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경진대회에 오른 개발사는 발표에 대한 유저 투표 80%, 심사위원 심사 20% 합산 평가로 ▲플레이그라운드(램프: 빛과 어둠) ▲이디오크러시(파이러츠워: 주사위의 왕) ▲오키도키게임즈(트윈스타) ▲나날이(샐리의 법칙) ▲플레이하드(레드브로즈: 붉은두건용병단) ▲하이디어(로그라이프) ▲아이들 상상공장(어비스리움) 등 최종 7개 회사로 추려졌다.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밥 미스 구글플레이 글로벌 게임 총괄은 오늘 전시에 참여한 30개 개발사의 게임은 소재도 다양하고 수준이 높아 한국 개발사들의 역량을 다시 보게 됐다"며 "구글플레이는 한국은 물론 세계 인디 개발사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격려했다.
심사위원인 김유진 스파크랩스 공동대표도 "전오늘 행사에서 한국이 게임 강국임을 증명하는 개발사들을 많이 만났다"며 "구글플레이 인디 게임 페스티벌에 참가한 개발사들이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게임을 만들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글은 톱7 개발사에게 중소 개발사 지원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200'참여 특전과 함께 멘토링, 벤처캐피탈(VC)·투자사와 네트워킹 기회, 구글 캠퍼스 서울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1년 무료 사용 등을 지원 받는다.
톱3 최우수 개발사로 선정된 ▲오키도키게임즈 ▲플레이하드 ▲나날이는 2016 구글 개발자 콘퍼런스(I/O) 투어 참가 지원(티켓, 항공권, 숙소 등)과 유튜브 크리에이터와 함께 게임 소개 영상을 제작할 기회를 추가로 받는다.
박재환 나날이 대표는 "오늘 받은 사용자 피드백과 평가가 너무 소중하다"며 "더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앞으로 더 노력 하겠다"고 기뻐했다.
구글은 인디 게임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구글플레이팀과 구글 캠퍼스 서울, 구글 클라우드 팀 등 다양한 부서가 협업해 지원할 방침이다.
밥 미스 게임 총괄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인디게임 성공 비결로 "플레이 게임 서비스와 구글플레이가 제공하는 다양한 툴을 최대한 활용해 가상현실(VR)이나 안드로이드 TV 등 새로운 플랫폼의 게임을 시도해보라"면서 "성공한 게임들의 고객 잔존율 지표(일정 기간 내 게임에 접속하는 이용자 수)를 벤치마킹하고 스토어에 정보등록을 효과적으로 하거나 게임 출시 전에 사전 등록 기능을 이용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