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상황과 관계 없이 '절대수익을 낸다'는 한국형 헤지펀드. 지난 2011년 12월 출범한 지 올해로 5년째다.
주춤하던 한국형 헤지펀드 설정액이 다시 4조원대를 돌파했다. 초저금리 시대에 마땅히 투자할 곳을 찾지 못한 기관과 초고액자산가의 자금이 몰린 결과다. 또 지난해 10월 금융당국의 '사모펀드 활성화 방안'에 따라 진입 장벽도 대폭 낮아졌다.
그러나 트렉레코드(운용성과)가 쌓이는 만큼 한국형 헤지펀드의 부익부빈익빈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시장에서는 대부분 투자자산이 국내 주식인 점과 '롱쇼트 전략(저평가 주식을 사고 고평가 주식을 공매도)'에만 치우쳐 있는 점은 개선해야 할 과제로 지적한다.
◆1위자리 굳힌 삼성자산운용
27일 금융투자업계 집계(지난3월 31 기준)에 따르면 78개 국내 헤지펀드의 설정액은 4조1048억원을 기록했다. 2011년 말 출범 초기 2000억원 수준에서 4년 새 스무배 가량 불어난 셈이다.
금융당국의 '사모펀드 활성화 방안' 이후 진입 장벽이 대폭 낮아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헤지펀드 운용사는 지난해 말 17개에서 3월말 26개로 9개나 늘었다. 같은기간 펀드 수도 46개에서 78개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삼성자산운용은 새로 진입한 운용사들의 펀드 출시 붐(boom) 에 1위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3월말 혀재 운용자스는 1조1906억원에 달한다. 시장점유을은 29.0%이다.
2위권에 있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하 시장점유율 11.0%), 브레인자산운용(7.2%)을 멀찌감치 따돌리고 있다.
안다(9.2%), 쿼드(6.8%) 등도 선전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 손미지 연구원은 "지난해 5월 설정액이 3조원을 넘어선 지 10개월만이다"면서 "특히 올해 들어 3개월만에 7000억원이 순유입 된 것으로 지난해 9000억원이 순유입 된 것과 비교하면 매우 고무적이다"고 평가했다.
PBS(Prime Brokerage Service) 순위에서는 NH투자증권이 1조 4140억원으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 대우증권(1조 2170억원)과 삼성증권(9677억원)이 뒤를 이었다. 가장 뒤쳐진 현대증권(359억원)은 KB금융지주 편입 이후 개선여지가 높다.
PBS들의 시드머니(seed money, 초기 투자금) 회수 움직임도 있다. 현재 대부분 PBS의 시드머니 한도는 1000~1500억원 수준이며 60~80% 정도 소진된 상황이다.
◆2017년 6조8천억원대로 성장 전망
한국형 헤지펀드는 대부분 '롱쇼트(Long-Short) 전략'을 활용한다. 3월 22일 기준 44%(50개 펀드 중 22개)가 '롱쇼트'를 구사한다. 이 전략은 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주식은 사고(long), 주가가 내릴 것으로 보이는 주식은 증권사 등에서 빌려 매도(공매도ㆍShort)해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매매기법이다.
그러나 일부 헤지펀드 수익률이 시장 성과에도 못미치면서 운용전략에 대한 의구심을 나타내는 시각도 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일부 펀드는 시장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는 등 안정성이 떨어지는 모습"이라며 "특히 최근과 같이 불확실성이 클 때는 롱쇼트 운용전략이 무너지면서 수익률이 급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성과 부진이라는 우울한 현실속에서도 업계와 시장에서는 헤지펀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이 지난 10월 25일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사모펀드 운용 및 등록, 판매 등의 규제를 대폭 완화했기 때문이다.
또 금융위원회가 사모투자 재간접펀드의 판매를 허용하는 내용의 자본시장법 개정을 다시 추진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손 연구원은"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간접 헤지펀드 판매 허용시 국내 헤지펀드 시장의 저변은 크게 확대될 전망"이라먀 "2017년 한국형 헤지펀드가 설정액 6조8000억원, 펀드 개수 130개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문호 기자 km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