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O2O 스타트업, 사명에 철학 담았네

창업 철학과 포부를 담은 O2O 스타트업들의 이색 사명을 모아봤다. 왼쪽부터 얍,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 비트패킹컴퍼니



[메트로신문 오세성 기자] 기업이 적절한 사명을 찾는 것은 기발한 마케팅과 독창적인 서비스만큼이나 중요하다. 어떤 기업은 기업명에 창업 철학이나 포부를 담고 어떤 기업은 설립자의 이름을 반영한다. 특히나 이제 막 시장에 뛰어드는 스타트업에게 사명은 성패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일이다. 최근 업계에서 주목 받고 있는 국내 스타트업 이름 속 숨은 스토리를 모아봤다.

◆소비(PAY)방식 뒤집는다는 O2O커머스 앱 '얍(YAP)'!

최근 서울 시내버스 운전석 뒤에 놓인 TV를 통해 지속적으로 브랜드를 노출시키며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는 얍(YAP)은 쿠폰, 할인혜택 등 정보를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2014년 6월 국내 최초로 비콘을 상용화하고 통합 O2O 커머스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특히 여타의 비콘 활용 애플리케이션과는 달리 자체적으로 개발한 하이브리드 비콘 기술을 기반으로 정교한 위치측정과 소비자에게 필요한 메시지만 발송하는 것이 특징이다.

얍의 기업명 'YAP'을 거꾸로 읽으면 '지불'을 뜻하는 'PAY'가 된다. 글자를 뒤집으며 기존 소비방식도 뒤집는다는 의미를 담았다. 로고 역시 현명한 소비생활을 돕는다는 브랜드 철학에 맞게 영리한 동물의 상징인 여우를 형상화했다.

철자 'P'는 여우 꼬리 모양을 담았고 여우를 연상시키는 주황색을 사용했다. 로고를 옆으로 돌리면 여우 얼굴이 연상되는 모습을 해 위트를 더했다.

얍컴퍼니 관계자는 "직관적 고객 인지와 커머스에 관한 다양한 의미 전달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술 통해 세상을 이롭게 하자, '비바리퍼블리카'

최근 265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해 주목을 끈 핀테크 기업 비바리퍼블리카 사명 뒤에도 숨은 뜻이 있다. '비바 리퍼블리카'는 18세기 프랑스 혁명 당시 대중의 구호로 쓰인 라틴어로 '공화국 만세'라는 뜻이다. '기술로 세상을 이롭게 하자. 그래서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만들자'는 기업의 철학을 담아낸 것이다.

비바리퍼블리카가 제공하고 있는 간편송금 '토스(Toss)' 서비스명도 '배구공을 토스하듯 쉽게 돈을 보낼 수 있다'는 의미를 담았다. 보안카드 입력이나 공인인증서 없이 금액과 받는 사람을 입력하고 암호를 확인하는 3단계만 거치면 가볍게 '토스'하듯 송금이 끝난다. 송금 직전에는 사기 의심 계좌 여부를 조회할 수 있는 편의 기능도 제공한다. 서비스 구동 화면에 공이 날아가는 듯 한 포물선이 그려져 서비스 명칭에 담긴 의미를 다시 상기시킨다.

◆음악을 포장하는 비트패킹컴퍼니

거리 이름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기업도 있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비트'를 제공하는 비트패킹컴퍼니가 대표적이다. 도매 정육시장으로 유명해 이름이 붙여진 미국 맨해튼의 '미트패킹 디스트릭트'에서 영감을 얻었다. 고기를 포장하듯 음악을 포장해 원하는 이에게 제공하겠다는 기업의 이념을 담은 셈이다.

'비트'는 국내 최초의 광고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최근 떠오르고 있는 스트리밍 라디오의 대표 주자다. 애플리케이션만 다운받으면 상황별, 계절별, 가수별 등 다양한 음악채널을 통해 무료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무료로 음악을 듣고 회사는 음악 사이에 광고를 넣어 수익을 내는 구조다. 원하는 곡을 다시 듣거나 다운로드 받을 때만 요금을 내면 된다.

특히 라디오의 특성을 차용해 귀찮은 선곡 과정 없이도 전문가가 선곡한 리스트를 편하게 들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