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좀비기업으로 낙인찍혔던 정유업계에는 봄 기운이 완연하다. 유가하락과 정제마진이 좋아지면서 수익성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어서다. 신용등급 평가에서도 좋은 점수를 따고 있다. "바닥을 찍었다"는 전망이 있지만 여전히 공급과잉 국면은 정유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정유업계 기사 회생
2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1·4분기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4사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약 1조9000억~2조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1·4분기 9601억원의 두 배를 넘는 수준이다.
기업별로는 SK이노베이션이 6780억원, 에쓰오일과 GS가 각각 4860억원, 388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한국기업평가 송종휴 연구원은 "1·4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약 1.0 조원)대비 74% 증가한 1조70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되는 등 예상 대비 높은 수준의 실적 개선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저유가 기조가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정제마진이 개선된 덕이 컸다. 화학사업 또한 원재료 가격절감 효과를 보며 보탬이 됐다.
이들 4사의 지난해 합산 영업이익은 4조7923억원으로 전년보다 5조원 이상 증가했다.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지난해 업계 평균 정제마진은 5.9달러(배럴 당) 로 2011 년 6.1달러 수준에 근접했다.
현금 창출 능력이 회복되면서 차입부담도 함께 줄었다. SK이노베이션·GS칼텍스·현대오일뱅크 등의 함산 차입금은 10조5000억원 가량이다. 1년 새 총차입금이 1조원 이상 줄어든 것이다.
수익성 및 영업현금창출력(OCF) 개선과 저유가에 따른 운전자본부담 완화·종전대비 설비투자 및 배당규모 축소 등 자금유출 최소화 노력, 적극적인 재무구조 개선노력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결과이다.
석유화학업계도 장밋빛 실적을 예고한다.
LG화학 롯데케미칼 대한유화 등 세 곳의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총 9863억원으로, 전년 동기(5942억원)보다 65.9%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에틸렌 스프레드(에틸렌 가격-납사 가격)나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가 고공비행하면서 실적 개선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에틸렌 스프레드는 1월 톤(t)당 666달러, 2월 603달러에 이어 3월에는 741달러로 치솟으면서 8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PX 스프레드는 최근 18개월만에 t당 400달러대로 올라섰다.
◆유비무환, 유가상승에 대비해야
자금 조달 길에도 숨통이 틔였다.
한국기업평가는 이달에 중·단기 정유시황과 투자계획 등을 종합해 정유기업 5곳 중 4곳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SK이노베이션과 S-Oil은 'AA+ 부정적'에서 'AA+ 안정적'으로, SK에너지와 GS칼텍스는 'AA 안정적'에서 'AA 긍정적'으로 상향됐다. SK인천석유화학은 'A+ 안정적'을 유지했다. GS칼텍스의 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되면서 지주사인 ㈜GS의 신용등급전망도 'AA- 안정적'에서 'AA- 긍정적'으로 올라섰다.
앞서 NICE신용평가도 최근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등의 신용등급을 상향했다.
나이스신평은 "국내 정유사들이 차입금 축소 등에 적극 나서면서 재무구조가 현저히 개선된 점과 향후 우수한 재무역량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점도 함께 반영했다"고 말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도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의 신용등급을 한단계 올렸다.
다만 현대오일뱅크는 이번 평정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지난해 6293억원으로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냈으나, 모회사인 현대중공업의 실적부진이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 안경훈 연구원은 "석유화학산업의 가장 긍정적인 시나리오는 투자여력과 수급불일치 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저유가상황 및 양호한 수요기반이 지속되는 것이다"면서 "그러나 유가가 점진적으로 상승할 경우 불리한 환경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규모 신규 투자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입장이다"면서 "또 대체 수출시장 확보, 구조조정 성과가 미흡할 경우 신용위험이 재차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