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케미칼이 2011년 2·4분기 이후 최대 실적인 분기 영업이익 1428억원 기록했다. /한화케미칼
[메트로신문 오세성 기자] 한화케미칼이 전년 동기 대비 458% 증가한 영업이익을 올렸다.
한화케미칼은 2016년 1·4분기 매출 2조1637억원, 영업이익 1428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2011년 2·4분기 영업이익 2002억원 이후 최대 실적이다.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
기초소재 부문과 태양광 부문 실적이 개선되며 1·4분기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한화케미칼 기초소재 부문은 저유가 효과로 원재료 가격을 낮췄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전선용 복합수지 W&C 등 고부가 제품 판매를 늘렸다. 그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184% 증가한 651억원을 기록했다.
태양광 부문도 지속적인 원가 절감 노력과 글로벌 수요 회복이 맞물리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태양광 부문은 전년 동기 192억원 적자를 봤고 태양광 셀의 주 원료인 폴리실리콘 가격도 올해 초 ㎏당 12달러까지 떨어졌다. 현재 폴리실리콘 가격은 ㎏당 16달러로 상향 안정화 됐고 1·4분기 실적도 889억원 흑자를 달성했다.
삼성에서 인수한 한화토탈은 저유가로 인한 스프레드(원료와 완제품 가격차이) 확대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나프타를 분해해 에틸렌을 생산하는 여천NCC도 견조한 제품 시황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한화케미칼이 2014년 화인케미칼을 인수하면 뛰어든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사업도 주요 경쟁사 공장 폐쇄 등으로 공급이 줄어들며 가격이 상승했다. 한화케미칼은 화인케미칼 인수 후 처음으로 15만톤 규모 3개 생산라인을 100% 가동하고 있다.
석유화학 업계 구조조정 대상 품목으로 거론되던 고순도테레프탈산(PTA) 역시 업계의 자율적인 생산량 조정과 원가 절감 노력으로 실적 회복세를 보였다.
한화케미칼은 2·4분기에도 좋은 실적을 낼 것으로 기대했다. 한화케미칼은 "석화산업의 계절적 성수기와 TDI·폴리실리콘 시황 개선이 기대된다"며 "파라자일렌(PX)와 스티렌모노머(SM) 등 한화토탈 주력제품도 꾸준한 실적을 거둘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