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여신심사 강화 구조조정 여파 2금융권 여신 급증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생명보험회사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 및 기업대출 증가세가 확대됐다. 기업구조조정과 은행권의 여신심사 강화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이용자 중 상당수가 2~3곳 이상에서 빚을 진 다중채무자인 데다 고금리 부담을 안고 있어 가계대출이 부실화의 뇌관이 될 것으로 지목되고 있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금, 매입어음 등 여신 잔액은 660조3216억원으로 작년 말(636조7843억원)보다 23조5373억원(3.7%) 늘었다.

비은행금융기관의 올해 1분기 여신 증가액은 1997년 4분기(24조3826억원) 이후 18년3개월 만에 최대치다.

특히 대출이 많았던 작년보다 증가 속도가 훨씬 빠르다.

지난해 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증가액은 53조9334억원으로 2008년(63조3583억원) 이후 7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1분기 증가액이 벌써 작년 한 해의 43.6%나 될 정도다.

금융기관 여신액을 보면 종합금융회사의 증가율이 높다.

지난 3월 말 종합금융회사의 여신 잔액은 11조9499억원으로 작년 말(10조6456억원)보다 1조3043억원(12.3%) 급증했다.

상호저축은행은 37조6641억원으로 3개월 사이 2조803억원(5.8%) 늘었고 신용협동조합은 45조3637억원으로 1조7817억원(4.1%) 증가했다.

이 밖에 상호금융사는 4조5250억원(2.3%), 새마을금고는 2조887억원(2.8%), 생명보험사는 9557억원(0.9%) 각각 늘었다.

올해 1분기 2금융권 여신이 많이 늘어난 것은 은행에서 대출하기 쉽지 않은 저소득층과 기업들이 몰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으로 올해 2월부터 은행 주택담보대출의 소득심사를 강화하는 방안이 수도권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이 대책은 5월부터 전국으로 확대됐다. 덕분에 저소득층은 비싼 이자를 주고 제2금융권에서 돈을 빌리고 있다.

기업들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사상 초유의 초저금리 지속에도 기업들의 자금 상황은 녹록치 않다. 경기 불황으로 기업 부실 위험성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초우량 회사채 외에는 눈길도 주지 않고 있다.

중소업체 한 관계자는 "회사채나 은행 돈을 빌려 쓰기도 빠듯하다"면서 "높은 이자를 주도라도 2금융권에서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돈을 빌리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크레딧 시장 관계자들은 "기업들의 펀더멘탈(기초체력)이 약화되면서 신용등급이 높은 회사채로 투자 수요가 몰리는 양극화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라며 "재무구조가 취약한 기업들의 자금조달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으로가 걱정이다. 신용등급 하락세가 심상치 않아서다.

올해 들어 4월 현재 AA-등급 이상 회사채의 신용등급 상향 건수는 5건이었다. 하락 건수는 3건에 불과했다. 지난해 94%에 달했던 하락비중은 38%로 낮아졌다.

반면 A등급은 하락이 9건이나 됐다. 상승은 단 3건이었다. 이에 하락비중이 75%나 됐다.

신용 강등 우려까지 커진 기업들의 고민은 더 크다. '신용등급 하락→자금조달 금리 상승→투자 어려움→실적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봉준기자 bj35sea@metroseoul.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