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수진작을 위해 실시한 임시 공휴일 기간 국내 보다 해외 카드사용액 증가율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KB국민카드가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연휴 기간 KB국민카드의 개인회원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이용금액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5월 연휴였던 5월 2~5일의 이용금액보다 5.1% 늘었다.
같은 기간 해외에서 사용한 카드결제 금액은 10.9%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상위 10개 나라 중 일본에서의 사용액이 44.1%나 늘었다. 싱가포르(34.6%)와 태국(31.1%)이 뒤를 이었다. 반면 홍콩(-17.1%)과 프랑스(-15.5%)는 감소했다.
국내 사용액의 경우 업종별로 보면 면세점에서 사용한 금액이 39.8% 늘어나 13개 업종 중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용 건수에서도 면세점은 전년 대비 27.4%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해외에서 연휴를 보내려는 사람이 많았다는 얘기이다.
반면 여행사 결제액은 61% 줄었다. 이는 여행사 결제가 통상 여행 기간 전에 이뤄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반음식점 결제액은 21.9% 늘었다. 음식점 중에서는 일식·생선 횟집이 40.6% 늘어나 증가율이 가장 높았고 패밀리 레스토랑은 6.2% 감소했다.
휴게음식점도 18.1% 늘었다. 고속도로 휴게소로 대표되는 휴게음식점이 36.8% 늘었고 커피전문점과 제과·아이스크림도 각각 18.3%, 15.0% 늘었다.
교통 분야는 11% 늘었다. 교통 중에서도 택시와 고속버스는 각각 22.1%, 20.3%씩 늘었지만, 항공사와 렌터카는 11.4%, 9.4%씩 감소했다.
반면 주유·충전소 이용액은 유가 하락 영향으로 4.1% 줄었다.
음식료 업종에서는 건강식품점이 -20.1%를 기록했다. 그러나 농축수산물점(27.0%), 정육점(26.4%), 기타식품점(22.4%) 등이 늘어나며 전체적으로 23.5% 증가했다.
또 유통분야는 편의점과 백화점이 각각 33.9%, 31.7% 늘었지만, 대형할인점은 17.3% 줄어 전체 4.2% 늘어나는 데 그쳤고, 전자상거래 업종도 5.4%만 증가했다.
영화관(-11.1%)과 서점(-28.6%), 온라인 티켓판매(-5.6%)가 포함된 문화취미 업종은 16.1% 줄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의 사용액이 1.0% 줄어 16개 시도 중 유일하게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이 17.0% 늘어 증가율이 가장 높았고 60세 이상(9.6%)이 뒤를 이었다. 반면 30대는 0.2% 증가하는 데 그쳐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